[스크랩] 대한민국 대표 예언서 ⑤ 미네르바 모음집 미네르바는 현대판 ‘선지자’인 대한민국 대표 예언서 ⑤ 미네르바 모음집 2009 02/03 위클리경향 810호 미네르바는 현대판 ‘선지자’인가 미네르바가 한참 유명세를 떨치던 작년 12월. 영국의 귄위 있는 경제전문지 <이코노미스트>는 한국의 ‘인터넷 경제 대통령’으로 불리는 ‘미네르바’를 소개했다. 이 잡지는 ‘False god? (그.. 사회쟁점. 2009.01.27
제2롯데월드건축문제점... 제2롯데월드를 둘러싼 이슈 5가지 안전·비용분담 등 ‘첩첩산중’ 잠실 제2롯데월드 조감도. 제2롯데월드 개발이 허용된 지난 1월 7일. 이 소식을 가장 먼저 반긴 사람은 누구였을까. 잠실 주민도, 롯데그룹 직원도 아닌 신격호 롯데그룹 회장이었을 것이다. 94년 롯데그룹이 초고층 건물 가능 여부를 .. 사회쟁점. 2009.01.26
예언서. 우리는 왜 예언서에 끌리는가 2009 02/03 위클리경향 810호 대부분 ‘십승지’ 소개… 핵심 키워드는 ‘생존’ 미네르바 신드롬, 주류 미디어 불신서 비롯 “그냥 전체적으로 2009년은 어떨지, 아이 취학이나 건강은 어떨지 궁금해서 봤어요.” 주부 정서혜(가명·39)씨는 올해 초 토정비결을 봤다. 따로 비.. 사회쟁점. 2009.01.26
미네르바 진위논란... 미네르바 진위 논란 `여전` '미네르바 진위' 논란이 여전하다. 검찰은 22일 "미네르바는 박대성씨(31) 1인"이라는 수사결과를 발표했지만 온·오프라인상에서는 아직도 미네르바의 정체에 대한 의문이 사그러들지 않고 있다. 다음 아고라에는 "검찰 운운하며 박대성이 맞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그저 권.. 사회쟁점. 2009.01.26
음력설에.. 음력설 한국인의 쇠고집 가운데 하나가 음력설을 쇠는 것이다. 1873년 양력을 받아들인 일본은 설날을 양력으로 쇤다. 하지만 양력설은 일본설이란 고정관념이 있어서일까. 1896년 갑오개혁 때 양력을 수용한 한국은 지금도 설날만은 음력이 대세다. 1912년 양력을 채택한 중국에서도 춘제(春節·설)란 .. 사회쟁점. 2009.01.26
[스크랩] 39개의 신조어에 담긴 직장인의 애환 ‘사오정’ ‘오륙도’는 옛말, 이제는 ‘삼팔선’이다 [조인스] 직장인들의 유행어 열전…자조와 한탄 통해 세태 풍자 39개의 신조어에 담긴 직장인의 애환 사고무친: 40대 직장인의 허무한 인생을 비유한 말. 본래는 가족이나 친척이 없는 경우를 뜻하는 말이지만, ‘40대 직장인은 고독하고 친구도 .. 사회쟁점. 2009.01.26
도시재개발...뉴타운의 그림자. 21세기 '난쏘공<도시 철거민>'들 재개발에, 고층빌딩에 밀려나는 세입자들 달동네서 더 먼 곳으로… '도시 난민' 전락 넉달치 임금의 이전비용 임대 아파트 '그림의 떡' 달동네마저 점점 사라지고 철거 과정서 폭력도 다반사 Url 복사하기 스크랩하기 블로그담기 철거민 박모(여·56)씨는 22일 서울 .. 사회쟁점. 2009.01.23
미네르바의 진실은... 미네르바는 금융계 인사 7명” 19일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본점의 월간지 코너에 전시된 신동아 2월호. 신동아는 2월호에 자신을 ‘미네르바’라고 밝힌 K 씨를 인터뷰한 기사를 실었다. 변영욱 기자 신동아 “우리가 진짜” K씨 인터뷰 게재 K씨 “구속된 朴씨 전혀 모르는 사람… IP 조작 가능성” 검.. 사회쟁점. 2009.01.20
미네르바를 생각한다.. '미네르바'를 다시 생각해 본다 Url 복사하기 스크랩하기 블로그담기 인터넷 속의 '미네르바' 박대성씨는 "나는 나의 개인 시각을 온라인으로 알리는 블로거(blogger·인터넷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람)일 뿐이다. 나는 정치인도 아니고 연쇄살인범도 아니다. 정치적 사건으로 만들지 말았으면 한다"고 말.. 사회쟁점. 2009.01.14
[스크랩] 영웅인가 사기꾼인가? / 미네르바 "월가서 파생상품 설계하기도… 미네르바, 영웅인가 사기꾼인가? 김희섭 기자 fireman@chosun.com ‘어두운 X파일 쏠림 현상이 바로 미네르바 신드롬’ 온라인 경제논객 ‘미네르바’가 검찰에 체포됐다. 지금까지 나온 검찰 얘기가 사실이라면 미네르바 신드롬은 한 무직자의 경제사기 행각일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일부 시민단체는 작.. 사회쟁점. 2009.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