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공정하면 떠오르는 나라. 바로 중국이다. 이 중국에도 징크스가 있다고 한다 . 그건 다름아닌 한반도 징크스.! 그럼 다음을 통해서 중국의 한반도 징크스에 대해 한번 알아보자.
지난날 한·중간의 역사는 중국이 한반도를 침략하거나 한반도 문제에 지나치게 개입했을 때 왕조의 멸망 또
는 붕괴를 초래하거나, 국력만 낭비하고 아무런 이득을 보지 못했음을 여실히 보여준다.
현 주중대사의 신분으로『떠오르는 용 중국』이라는 책을 써 화제가 된 김하중 씨는 이러한 한·중간의 역사 적 현상을 ‘중국의 한반도 징크스’라 규정한다.
과연 배사율의 냉엄한 심판이라 할 ‘중국의 한반도 징크스’는 어느 정도로 무섭게 들어맞아 왔는가? 그 역사 적 선례들을 하나씩 짚어 보기로 하자.
고구려 원정 실패로 망한 수(隋)나라 6세기 말 남북조를 통일한 수나라의 문제(文帝)는 당시 요동평원에서 강력한 국력을 형성하고 있던 고구려
를 침공하기 위해 군대를 동원했으나 전염병의 발병으로 중도에 회군하고 만다. 다음 제위에 오른 수나라 양
제(煬帝)가 고구려와 돌궐족의 연합에 대비하고, 백제와 신라의 구원 요청에 응한다는 구실로
고구려 정벌을 단행했다. 서기 612년, 수양제가 1차 정벌을 위해 동원한 군대는 정규군 130만, 예비 병력 200만, 곡량을 운반하는 인
부들이 600∼700만 명이었으며 군대 행렬의 길이는 960리에 달했다고 한다. 이때 수나라 장수 우문술(字文述)
이 이끄는 35만의 군대가 평양을 침공했으나, 고구려 을지문덕 장군의 유도 작전으로 살수에서 대패했으며
살아서 중국으로 돌아간 병사가 2,700여 명에 불과했다.
서기 613년 수양제가 고구려에 대한 제2차 침공을 시도했지만, 국내의 농민봉기 발발로 철군했고, 614년 다
시 제3차 침공을 시도했으나 실패로 돌아갔다. 결국 무리한 전쟁 준비는 국력의 쇠퇴를 불러왔으며 왕조 건립 38년만에 수나라가 멸망하는 원인이 되었다.
대군과 맞서 싸운 난공불락의 요새, 안시성 복원도(우)
당태종(唐太宗)의 큰 과오로 기록된 고구려 침공 서기 626년 왕위에 오른 당태종은 수나라의 전례를 거울삼아 초기엔 고구려 침공을 자제한다. 그러나 정관
(貞觀) 말년인 서기 645년 고구려와 백제의 침공을 받은 신라가 당나라에 구원을 요청하자 당태종 자신이 직
접 군사를 이끌고 고구려 정벌에 나서게 되었다.
645년 당태종은 10만의 원정군을 편성해 제1차 고구려 침략을 단행했지만 3개월 가량의 안시성 싸움에서
군량이 떨어지고 병사들의 사기가 크게 저하되자 결국 철군하고 말았다.
이 싸움에서 당태종 자신도 한쪽 눈을 잃고 말았다.
았다. 결국 당태종은 “다시는 고구려를 침략하지 말라”는 유언을 남긴 채 죽고 만다. 당태종의 무리한 고구려 정벌 시도는 당나라 국력의 막대한 손실과 민생이 피폐해지는 결과를 초래해, 중국
역사는 이를 당태종의 커다란 과오로 기록하고 있다.
제국의 몰락을 가져온 명(明)의 임진왜란 파병 1592년 임진왜란 발발로 조선이 원군을 요청하자, 명나라는 자국의 이익과 방어라는 전략적 차원에서 파병
을 결정한다. 낙상지(駱尙志), 사대수(査大受), 이여송(李如松) 등의 장수를 앞세우고 연인원 약 40만 명에 달 하는 병력을 조선으로 보낸 것이다. 군(明軍)은 군 작전권을 움켜 쥔 채 방어적인 전투를 치르는 데만 급급했다.
국 여진족에게 왕조를 빼앗기는 운명을 맞는다. 과욕과 자만으로 몰락한 청(淸)왕조 19세기 말 개화기, 청나라는 조선에 대한 ‘예속화 정책’을 펴며 조선에서의 종주권을 강화해 갔다. 그러나
청나라의 식민적 지배와 관리의 압제에 시달려온 농민들이 ‘동학농민봉기’를 일으키자 청나라는 일본보다 먼
저 조선을 장악할 욕심에 조선 파병을 결정한다. 1894년 청은 3천 명의 병력을 파견한 뒤 출병을 일본측에
통지했으며, 결국 풍도해전을 시작으로 일본과 청나라간의
청·일전쟁이 시작되었다.
결국 일본에게 패하게 되고, 자신들의 실력을 과신하고 한
반도 문제에 지나치게 개입한 결과 국제사회에서 약점이
노출되고 말았다.
이를 계기로 서구 열강의 중국에 대한 본격적인 분할이
이루어졌으며, 청조가 붕괴하는 결정적 원인이 되었다.
|
'중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旅窓筆滴-중국 운남성편 운남성-11. 여강-2. 여강고성(麗江 古城: (0) | 2009.12.02 |
---|---|
1500년동안 유지한 모계사회"모수호족"의 주혼제도... (0) | 2009.11.30 |
유럽인이 본 중국의10대관광지는... (0) | 2009.11.26 |
중국의 소수민족 (0) | 2009.11.21 |
중국의 부자마을"화시촌" (0) | 2009.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