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 꽃다리 | |||||
영어명 |
라일락 |
학명(라틴어/공통) |
| ||
중국어(한자)명 |
|
유럽명 |
리라꽃 | ||
과 (속) |
물푸레나무과 | ||||
성상(性狀) |
낙엽소교목 | ||||
조직의 특성 |
꽃 |
ㅇ4~5월 무렵 옅은 자주색으로 무리지어 피며 향기가 있다. | |||
잎 |
ㅇ | ||||
줄기 |
ㅇ | ||||
열매 |
ㅇ 타원형이며 씨방이 여러개다. | ||||
수형 |
ㅇ | ||||
기타 |
ㅇ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수수꽃다리는 황해도와 평안도에서 자라는 특산 식물이다. | ||||
역사 문화적인 내용 |
ㅇ수수꽃다리는 한국산 라일락이다. 라일락의 정확한 우리 이름은 ‘서양수수꽃다리’이다. 영어권에서는 라일락이라고 부르며, 프랑스에서는 리라로 부른다. | ||||
해설 포인트 |
ㅇ |
두릅 나무 | |||||
영어명 |
|
학 명 (라틴어/공통) |
Aralia elata | ||
중국어(한자)명 |
|
일본어명 |
| ||
과 (속) |
두릅나뭇과 | ||||
성상(性狀) |
낙엽 활엽관목 | ||||
조직의 특성 |
꽃 |
ㅇ 7~8월 산방화서를 이루며 흰 오판화가 줄기 끝과 가지 끝 에 모여 핀다. | |||
잎 |
ㅇ 잎이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넓은 계란형으로 가장자리에 끝이 뾰족하다. ㅇ표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색이다. | ||||
줄기 |
ㅇ 잎줄기와 잎에 가시가 있다. | ||||
열매 |
ㅇ 10월에 둥근 장과가 자주빛을 띤 검정색으로 익는다. | ||||
종자 |
ㅇ 뒷면에 좁쌀 같은 돌기가 약간 있다. | ||||
기타 |
ㅇ두릅 나무의 껍질은 당뇨병과 신장병의 약재로 쓰여 왔는데 최근 이것에 관한 과학적인 근거가 밝혀젺다. | ||||
역사 문화적인 내용 |
ㅇ 봄철 춘곤증에는 입맛 돋구는 봄나물이 최고다. 백범 김구 선생이 유난히 두릅을 좋아하셨다는 얘기도 있다. 두릅은 비록 가시가 비쭉거려 못생겼지만 그 새살은 얼마나 부드럽고 향기로운지 모르오. 그는 임정요인들에게도 춘삼월이 오면 마곡사 뒷산 의 두릅남무 이야기를 자주 했다는 일화다. 땅 두릅은 나무두릅과는 달리 다년생 풀로 분류되며 모양과 맛과 향이 나무 두릅과 조금 다르다. | ||||
해설 포인트 |
ㅇ 두릅은 흔히 산나물로 불리는데 엄밀히 말하면 두릅나무의 어린 순 이다. 두릅순은 가지 끝에 달리는 산채란 뜻의 목두채(木頭菜) , 늙은 까마귀발톱 같은 가시가 있다 하여 자(刺)노(老)아(鴉), 용의 비늘고 같다 하여 자룡아 등 여러 이름이 있다. |
산수유 나무 | |||||
영어명 |
|
학명(라틴어/공통) |
Cornus officinalis Siebold et Zuccarini | ||
중국어(한자)명 |
|
일본어명 |
| ||
과 (속) |
층층나무과 | ||||
성상(性狀) |
낙엽 활엽 소교 | ||||
조직의 특성 |
꽃 |
ㅇ 식물의 높이는 7m에 이르고 이른 봄에 잎이 나기전에 인상 인상적인 산형화서로 된 항색의 꽃이 핀다. 한 꽃송이에는 20-30개의 꽃이 모여 피며 온 세상이 아직 겨울잠에서 깨어나기도 전에 봄의 전령처럼 화신(花信)을 전한다. | |||
잎 |
ㅇ 마주나기를 한다. | ||||
종자 |
ㅇ긴 타원형이며, 능선이 있다. 약간의 단맛과 함께 떫고 강한 신맛이 난다. | ||||
열매 |
ㅇ낙엽교목인 산수유나무의 열매이다. 타원형의 핵과(核果)로서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8~10월에 붉게 익는다. | ||||
기타 |
ㅇ 과육(果肉)에는 코르닌, 모로니사이드, 로가닌, 탄닌, 사포닌, 등에 배당체와 포도주산 ,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다. | ||||
역사 문화적인 내용 |
ㅇ 코르닌의 독성은 매우 낮고 용혈(溶血)작용은 관찰되지 않으며 약하기 는 하지만 부교 감신경흥분 작용이 있다고 보고가 있다. ㅇ중의적인 임상 예에 따르면 산수유는 원기를 수렴(收斂)하는 효과가 매우 크고 정신을 긴장케 하며 혈맥을 통하게 하며 간허(肝虛)에 의한 협통(脇痛), 요통(腰痛)은 물론이고 정기를 회복케한다고 해서 일반적 으로 정신, 육체 양면에 걸친 강장효과가 수금될 수 있다. | ||||
해설 포인트 |
ㅇ 날씨가 풀리면 노랗게 꽃망울을 터뜨리며 봄을 알리는 산수유 나무는 여름이면 무성한 잎으로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 준다.
|
산 딸 나 무 | |||||
영어명 |
Cornaceae |
학명(라틴어/공통) |
| ||
중국어(한자)명 |
|
일본어명 |
| ||
과 (속) |
층층나무과 에 속하는 낙엽교목 | ||||
성상(性狀) |
| ||||
조직의 특성 |
꽃 |
ㅇ꽃은 十 자 모양으로 된 4장의 흰색 꽃이 핀다. ㅇ 6월 무렵 가지 끝에 무리져 피는데 둥그렇게 만들어진 꽃 차례에 4장의 꽃잎처럼 생긴 흰색 포가 꽃차례 바로 밑에 십자 형태로 달려 꽃차례 전체가 마치 한 송이 꽃처럼 보인다. | |||
잎 |
ㅇ잎은 마주나고 4~5쌍의 잎맥이 양쪽으로 나오며 잎 뒷면 에는 털이 밀생한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게 무딘 톱니들이 조금 있다.
| ||||
줄기 |
ㅇ | ||||
열매 |
ㅇ딸기 모양의 열매가 붉은색으로 익느데 단맛이 나며 먹을 수 있어 식용한다. | ||||
겨울눈 |
ㅇ | ||||
기타 |
ㅇ 소화불량, 배아픔, 설사를 낫게한다. | ||||
역사 문화적인 내용 |
ㅇ 처음 이 꽃을 본 사람은 청순한 자태와 해맑은 빛깔에 반해 그 곁을 떠날 줄 모른다. 다른 꽃은 꽃잎이 다섯 장이지만 이 꽃만은 네 장이어서 짝수가 주는 가녀린 느낌이 있다. 엄밀히 말하면 꽃이 아니라 꽃받침이 변한 것이고 꽃은 그 속에 꼭 딸기처럼 동그랗게 뭉쳐 있어 가을이면 빨갛게 물든 다. | ||||
해설 포인트 |
ㅇ ㅇ
|
층층나무 | |||||
영어명 |
|
학명(라틴어/공통) |
코르누스 | ||
중국어(한자)명 |
|
일본어명 |
| ||
과 (속) |
등대수, 육각수, 물깨 금나무, | ||||
성상(性狀) |
ㅇ 낙엽 교목이며 높이 10~20m안팎이고, 지름50~ 60㎝ 정도로 자란다. | ||||
조직의 특성 |
꽃 |
ㅇ 수꽃양성화딴그루다. 4~5월에 새가지 끝에서 나온 길이 5~10㎝의 원추꽃차례에 꽃이 모여 달린다 ㅇ 꽃에는 꽃잎이 없으며, 꽃받침은 길이 2~3㎜의 컵 모양이며 꽃받침열편은 삼각형이다 ㅇ 수꽃은 수술이 2개이며, 양성화는 2개의 짧은 수술과 1개의 암술대가 있다. 암술머리는 얕게 2갈래로 갈라진다 | |||
잎 |
ㅇ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타원 상 난형이고 점(漸)첨(尖)두(頭) ㅇ잎은 길이 5~12㎝, 너비 3~8㎝, ㅇ표면은 녹색이며 어릴 때 복모가 약간 있고 뒷면은 백색 ㅇ측맥은 5~8쌍이며 엽병은 길이 3~5㎝이고 붉은 빛이 돌고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 | ||||
|
ㅇ | ||||
열매 |
ㅇ9월에 성숙되며 핵과는 둥글며 지름6~7㎜이고 벽흑색으로 익는다. | ||||
기타 |
ㅇ 동북아시아 온대지역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전국 각처 산지 산복 및 계곡 등에 자생합니다. | ||||
역사 문화적인 내용 |
ㅇ층층나무에는 탄닌이 성분이 들어있습니다. 등대수는 층층나무의 가지와 나무껍질입니다. 등대수 효능은 조종지통 즉, 소종작용이 있어 종기, 악창에 쓰이고 신경통, 관절염에서 통증을 그치게 한다. ㅇ안덕균의 한국의 약초에서 기록한 것을 보면 층층나무에는 독성이 없는 안전한 나무라고 합니다. | ||||
해설 포인트 |
ㅇ층층나무 성장속도가 빠르며 내한성도 강하고 공해에도 강하나 토양은 비옥한 토질을 좋아 합니다. 햇볕도 가리지 않고 음지에서도 잘 자라 도심 빌딩 조경수로도 잘 어울린다. ㅇ층층나무 가지를 꺾으면 수액이 샘솟듯 나오는데 그 물을 마시면 갈증을 해소하고 맛도 시원하고 고로쇠 수액처럼 물을 받아먹을 수 있다. |
'식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산딸나무열매의효능 (0) | 2014.09.01 |
---|---|
[스크랩] 나무이름만으로도 괜찮은 산행 (0) | 2014.08.27 |
[스크랩] 이팝나무 꽃이 피었습니다 (0) | 2014.05.18 |
[스크랩] 은행나무 꽃 이야기 (0) | 2014.04.30 |
[스크랩] 소태나무 효능 (0) | 2014.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