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 효능과 동충하초 종류 누에 동충하초 생산시 문제점
국내에 학계에 보고된 동충하초 종류도
약 40여품종으로 이중 몇가지 품종만 인공적으로
재배하고 있다
재배되는 동충하초는 크게 두가지로 나눌수 있다
실크를 만들고 남은 번데기나 쌀겨로 기른 동충하초와
자연 상태와 똑같은 방법으로 재배한 살아있은 누에에서
재배한 동충하초 크게 두가지로 보면 된다,
동충하초 종류
1, 노랜재 동충하초
2,눈꽃동충하초
3,자연산 눈꽃동충하초
3,
4,눈꽃동충하초(살아있은 누에에서재배한 눈꽃동초)
5,매미눈꽃동충하초
6,매미눈꽃동충하초
7,밀리타리스 눈꽃동충하초
8,번데기봉형 눈꽃동충하초
9,번데기봉형 눈꽃동충하초
10,벌 눈꽃 동충하초
11,유충긴목 동충하초
12,유충흙색다발동충하초
중국동충하초(C. sinensis)의 성분 및 효능
세계적으로 자연산 동충하초 채취량은 년간 약 20여톤으로
공급량이 얼마되지 않아 상당히 고가에 판매되고 있다
○ 고의서에 의하면 本草從新에는 달고 따뜻하며, 靑海藥材에는 달고
순하며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음
○ 예로부터 중국에서 알려지고 있는 약효는 保弊益腎, 止血和痰,
飛精益氣의 기능이 있다고 전해지고 있음
○ 중국의연구결과 :항균작용이 강하고, 중추신경계·호흡기계통·심혈관계통에
좋으며, 항암효과, 면역력증강, 항피로, 항산화효과 우수
○ 성분함량 : 수분10.8%, 지방8.4%, 조단백질 25~32%, 탄수화물 23.9%,
조섬유18.5%, 조회분 4.1%가 함유되어 있고, 발린(valine)등 8종의
필수아미노산을 포함 17종의 각종 아미노산 함유
○ 약리 활성물질 : 미량의 Cordycepin, 7.6%의 D-mannitol, 11.2%의
다당체(polysaccharide) 함유
농촌진흥청 동충하초 개발 동기
1,동충하초가 곤충에서 발생하는 약용버섯이라는 점에
착안해 누에 사육농가에서 자연과 똑같은 방법이라는 점에 착안
2, 누에는 식품으로 사용되고 있고 옛적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었다
3,우리나라 농가에서 쉽게 기를수 있는 대표적 곤충이라는 점
4,양잠농가의 신소득원 창출 목적으로 야생동충하초의
발생원리와 동일한 원리를 적용하여 개발
◎ 동충하초 생산및 문제점
○ 대부분의 농가가 시설과 재배기술이 미흡하여
생산성이 낮은 관계로 고가판매 불가피
○ 외국산 죽은 번데기를 이용하여 생산한
동충하초와의 가격차이 과다로 판매에 어려움
살아있은 누에로 재배한 누에눈꽃동충하초
'산나물과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만병초 사진과 효능 (0) | 2016.06.13 |
---|---|
[스크랩] 만병초 사진과 효능 (0) | 2016.06.13 |
[스크랩] 동충하초 효능 소개합니다 (0) | 2015.11.03 |
[스크랩] 하수오 효능 및 먹는 방법. (0) | 2015.10.30 |
하수오의 효능 (0) | 2015.10.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