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대철·김무성·서청원·안상수·이재오·박지원·안희정….' 전국적인 지명도를 갖고 있는 이들 정치인에게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국회의원 한 번 하는 것이 대수롭지 않은 일일 것 같은 거물 정치인들이지만 이들은 모두 역대 총선 공천에서 탈락한 인물들이다. 대권주자나 당권주자로 분류됐을 법한 이들이 공천에서 탈락한 것은 한국 정치에서 공천이 지니는 의미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20대 총선 공천을 둘러싼 '전쟁'도 이제 막이 오르고 있다. 지난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간의 '안심번호' 합의 이후 공천권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일반 국민들은 '공천'을 둘러싼 여야 정치권의 다툼에 '신물이 난다'고 표현한다. 싸우면 싸울수록 지지율이 떨어지는데도 왜 이 같은 이전투구를 4년마다 반복할까?
기본적으로 국회의원 정수는 한정돼 있는데 도전자는 넘쳐나면서 나타난 치열한 경쟁 때문이다. 국회의원 예비군으로 분류될 수 있는 전직 의원, 지역위원장, 지방의회 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정당인 등의 숫자는 전국적으로 수만 명이 넘는다. 여기에 '인생 2모작'을 꿈꾸며 각 분야에서 성공했거나 높은 인지도를 구축한 인물들이 끊임없이 정치권에 발을 들여놓고 있다. 공천 경쟁이 이 같은 당사자 간 경쟁에서 끝난다면 사실 '전쟁'까지 갈 일은 아니다. '여기서 밀리면 끝장'이라는 배수진 정치까지 등장하는 것은 대권 후보 선출과 연계된 '계파 정치'에 있다. 현역의원은 대권 후보 선출을 위한 당내 경선 과정에서 지역 대의원 선출, 권리당원 모집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모든 대선에서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자파 현역의원을 많이 확보한 진영이 대권 후보 선출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한다. 이 때문에 계파 보스들은 공천을 둘러싼 사활을 건 경쟁을 펼칠 수밖에 없다. 보통 공천룰을 설정하고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하는 단계에서부터 계파 전쟁의 서막이 시작된다. 계파 보스가 앞장서서 밀실 다툼에서 전리품으로 공천권을 따와 이를 후보자들에게 하사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과거 한국 정치에서 계파 보스에게 줄서기가 무엇보다 중요했다.
20대 총선 공천을 둘러싼 '전쟁'도 이제 막이 오르고 있다. 지난 추석 연휴 기간 동안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와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간의 '안심번호' 합의 이후 공천권 갈등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일반 국민들은 '공천'을 둘러싼 여야 정치권의 다툼에 '신물이 난다'고 표현한다. 싸우면 싸울수록 지지율이 떨어지는데도 왜 이 같은 이전투구를 4년마다 반복할까?
기본적으로 국회의원 정수는 한정돼 있는데 도전자는 넘쳐나면서 나타난 치열한 경쟁 때문이다. 국회의원 예비군으로 분류될 수 있는 전직 의원, 지역위원장, 지방의회 의원, 지방자치단체장, 정당인 등의 숫자는 전국적으로 수만 명이 넘는다. 여기에 '인생 2모작'을 꿈꾸며 각 분야에서 성공했거나 높은 인지도를 구축한 인물들이 끊임없이 정치권에 발을 들여놓고 있다. 공천 경쟁이 이 같은 당사자 간 경쟁에서 끝난다면 사실 '전쟁'까지 갈 일은 아니다. '여기서 밀리면 끝장'이라는 배수진 정치까지 등장하는 것은 대권 후보 선출과 연계된 '계파 정치'에 있다. 현역의원은 대권 후보 선출을 위한 당내 경선 과정에서 지역 대의원 선출, 권리당원 모집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모든 대선에서 일률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지만 대체적으로 자파 현역의원을 많이 확보한 진영이 대권 후보 선출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령한다. 이 때문에 계파 보스들은 공천을 둘러싼 사활을 건 경쟁을 펼칠 수밖에 없다. 보통 공천룰을 설정하고 공천심사위원회를 구성하는 단계에서부터 계파 전쟁의 서막이 시작된다. 계파 보스가 앞장서서 밀실 다툼에서 전리품으로 공천권을 따와 이를 후보자들에게 하사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과거 한국 정치에서 계파 보스에게 줄서기가 무엇보다 중요했다.
![원본사이즈 보기](http://img.mk.co.kr/news/2013/bt_news_zoom.png)
![기사의 1번째 이미지](http://file.mk.co.kr/meet/neds/2015/10/image_readmed_2015_945729_14438124642153319.jpg)
▶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김 시대'였던 2000년 16대 총선까지는 사실상 공천으로 통하는 유일한 창구가 '보스의 낙점'이었다. 주기적으로 '공천 헌금' 파동이 일어났던 것도 '공천=당선'이라는 절대자의 영향력을 보여주는 대목이었다. '포스트 3김' 시대의 첫 총선이었던 2004년 17대 총선 이후에는 대통령이나 당 대표 등 '절대적 1인 권력자'의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축소됐다. 그러나 이는 역설적으로 공천을 둘러싼 계파 보스들의 '피를 부르는 대혈투'가 더욱 심화됐음을 의미한다.
2004년 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은 자격심사를 통과한 후보자를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뒤 압도적 우위를 보이는 후보가 있으면 단수 공천을 실시했다. 여론조사에서 박빙으로 나타날 경우 별도의 면접을 거쳐 서류심사와 면접을 종합 검토한 결과를 토대로 공심위원들의 투표로 후보를 선정했다.
반면 2002년 대선 때 불법 정치자금 수수로 '차떼기정당'이란 오명을 얻은 한나라당은 탄핵 역풍까지 겹치면서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져 있었다. 일각에서 '현역의원 전원 불출마'라는 극단적 충격요법까지 제안되기도 했다. 박근혜 당시 비상대책위원장은 이 같은 분위기를 반영해 '혁신 공천'을 통해 중진의원 숙청 작업에 들어갔다. 30~40대 정치 신인을 대거 발탁하고 중진의원 26명이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데 이어 당시 최병렬 대표, 서청원 전 대표, 박종웅 의원 등 중진의원들이 줄줄이 고배를 마셨다. 결국 한나라당은 탄핵 역풍에도 불구하고 299석 중 121석을 얻어 개헌저지선을 확보하며 나름 선전했다.
2004년 17대 총선에서 열린우리당은 자격심사를 통과한 후보자를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한 뒤 압도적 우위를 보이는 후보가 있으면 단수 공천을 실시했다. 여론조사에서 박빙으로 나타날 경우 별도의 면접을 거쳐 서류심사와 면접을 종합 검토한 결과를 토대로 공심위원들의 투표로 후보를 선정했다.
반면 2002년 대선 때 불법 정치자금 수수로 '차떼기정당'이란 오명을 얻은 한나라당은 탄핵 역풍까지 겹치면서 절체절명의 위기에 빠져 있었다. 일각에서 '현역의원 전원 불출마'라는 극단적 충격요법까지 제안되기도 했다. 박근혜 당시 비상대책위원장은 이 같은 분위기를 반영해 '혁신 공천'을 통해 중진의원 숙청 작업에 들어갔다. 30~40대 정치 신인을 대거 발탁하고 중진의원 26명이 총선 불출마를 선언한 데 이어 당시 최병렬 대표, 서청원 전 대표, 박종웅 의원 등 중진의원들이 줄줄이 고배를 마셨다. 결국 한나라당은 탄핵 역풍에도 불구하고 299석 중 121석을 얻어 개헌저지선을 확보하며 나름 선전했다.
![기사의 2번째 이미지](http://file.mk.co.kr/meet/neds/2015/10/image_readbot_2015_945729_14438124652153348.jpg)
18대 총선에서는 한나라당의 '친박계(친박근혜계)' 공천 학살 논란이 그치지 않았다. 박희태 전 국회부의장과 김무성 대표 등이 줄줄이 공천 탈락하면서 안강민 전 대검 중수부장이 공천심사위원장을 맡은 당시 공심위에 대한 공정성 시비가 끊임없이 일었다. 당시 박 대통령은 "국민도 속고 나도 속았다"며 낙천한 친박계 인사들에게 "꼭 살아 돌아오라"는 메시지를 전했고 낙천자들은 '친박연대'란 전무후무한 당명으로 출마해 친이계 후보들을 꺾고 여의도로 귀환하기도 했다. 논란은 컸지만 한나라당은 153석을 차지했다. 야당은 '저승사자'로 통하던 박재승 공천심사위원장이 전면에 나섰다. 금고 이상의 형을 받았다는 이유로 '원조 386' 김민석 전 의원, 친노의 복심 안희정 현 충남지사 등을 줄줄이 공천 탈락시켰으며, 김대중 전 대통령의 측근 박지원 의원, 차남 김홍업 전 의원도 낙천됐다. 19대 총선에서는 새누리당에서 친박계의 복수가 시작됐다. 정홍원 전 총리가 공심위원장이 됐고 진수희·권택기 의원 등 '친이계(친이명박계)' 좌장 이재오 의원의 측근과 안상수 전여옥 의원 등이 공천에서 탈락했다. 이번에도 새누리당은 152석을 얻으며 과반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민주통합당은 127석을 얻으며 비교적 선전했지만 공천 과정에서는 '친노패권주의'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번 20대 총선에서 가장 쟁점이 되는 부분은 바로 '모바일 안심번호' 도입과 공천 과정에서의 국민 참여 여부다. 김무성 대표와 문재인 대표 모두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드리겠다'고 공언하고 있지만 물밑에서는 치열한 계파 간 손익 계산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새누리당의 비박과 새정치민주연합의 친노는 모두 경선 과정에서 일반 국민 참여를 늘리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 지난 17대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박근혜 당시 후보는 당원과 대의원 투표에서 승리하고도 일반 국민 여론조사에서 뒤져 이명박 후보에게 대권을 양보해야 했다.지난 18대 민주통합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문재인 후보는 모바일 경선에서의 압도적 지지를 바탕으로 대세론을 이어가며 결국 대권 후보 자리를 거머쥐었다. 이 같은 경험은 새누리당의 친박과 새정치민주연합의 비노 진영에 일반 국민 참여 확대와 모바일 경선 방식에 대한 '트라우마'를 갖게 했을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비박과 친노 진영에서는 일반 국민 참여와 모바일 경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을 것이다. 결국 '국민 참여'라는 명분 뒤에는 계파 간 이해관계가 도사리고 있는 셈이다.
이번 20대 총선에서 가장 쟁점이 되는 부분은 바로 '모바일 안심번호' 도입과 공천 과정에서의 국민 참여 여부다. 김무성 대표와 문재인 대표 모두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드리겠다'고 공언하고 있지만 물밑에서는 치열한 계파 간 손익 계산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새누리당의 비박과 새정치민주연합의 친노는 모두 경선 과정에서 일반 국민 참여를 늘리려는 의도를 갖고 있다. 지난 17대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박근혜 당시 후보는 당원과 대의원 투표에서 승리하고도 일반 국민 여론조사에서 뒤져 이명박 후보에게 대권을 양보해야 했다.지난 18대 민주통합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문재인 후보는 모바일 경선에서의 압도적 지지를 바탕으로 대세론을 이어가며 결국 대권 후보 자리를 거머쥐었다. 이 같은 경험은 새누리당의 친박과 새정치민주연합의 비노 진영에 일반 국민 참여 확대와 모바일 경선 방식에 대한 '트라우마'를 갖게 했을 것으로 보인다. 반대로 비박과 친노 진영에서는 일반 국민 참여와 모바일 경선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갖고 있을 것이다. 결국 '국민 참여'라는 명분 뒤에는 계파 간 이해관계가 도사리고 있는 셈이다.
'사회쟁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자들이 뽑은 최악의 역사왜곡사례15선 (0) | 2015.10.19 |
---|---|
중.고등학교 역사교과서개편관련 교육부총리 담화내용 (0) | 2015.10.13 |
20년뒤 한국을 먹여살릴 도전기술은... (0) | 2015.09.24 |
차기(2017)대선의 고려요소는? (0) | 2015.06.21 |
국민연금논란 (0) | 2015.05.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