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로가(嘆老歌)
<청구영언>
한 손에는 막대를 잡고, 또 한 손에는 가시를 쥐고서 늙어가는 것을 가시(가시덩굴)로 막고, 오는 백발은 막대기로 치려고 하였더니 (어느새) 백발이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이 작품은 늙음을 한탄하는 탄로가로서,
'탄로가(嘆老歌)' 2수 가운데 한 수로 '늙음' 이라는 추상적인 인생길을 구체적이고 시각적인 길로 전환시키고, 인생 무상을 느끼게 하고 인간이 세월을 거역하려는 것에 대한 익살스런 표현으로 표현하고 있지만 인간의 한계성을 뼈저리게 느끼게 하는 대목이다. 세월(늙는 길)과 늙음(백발)을 구상화한 공감각적 이미지를 통해 늙음에 대한 안타까움을 간결하고도 선명하게 표현하고 있다. 그리고 춘향전에 나오는 백발까에 '오는 백발 막으려고 우수에 도끼들고, 좌수에 가시들고, 오는 백발 뚜드리며, ……가는 홍안 절로 가고 백발은 스스로 돌아와, 귀 밑에 살잡히고 검은 머리 백발되니……'라는 구절은 이 시조가 잡가화한 것이 아닌가 하고 짐작해 볼 수 있다
고려 말에 우탁(禹倬)[1263(원종 4)∼1342(충혜왕 복위 3)] 이 지은 시조. ‘歎老歌(탄로가)’로 표기하기도 한다. 모두 3수로 늙음을 한탄한 주제를 담고 있다.
작자가 충선왕의 패륜을 극간하다가 진노를 입어 예안에 은거하면서 학문을 닦고 후진을 양성하며, 새로 들어온 주자학을 연구하다 보니 어느덧 백발이 되어 인생의 늙음을 안타까워하여 읊은 것이다.
“한 손에 가시를 들고 또 한 손에 막대 들고”로 시작되는 작품은 자연적으로 찾아오는 늙음을 인위적으로 막아보려는 인간의 솔직한 감정을 처절하게 노래하였고, “춘산에 눈녹인 바람 건듯 불고 간데 없다.”로 시작되는 작품은 자연의 힘을 빌려 인간의 삶을 변화시켜보고자 하는 의지를 드러낸 것으로, 봄바람이 눈덮인 산을 녹이듯 자연의 위대한 힘을 빌려 인간에게 찾아오는 백발을 없애보고자 하는 간절한 소망을 담았다.
“늙지 말려이고 다시 젊어 보려터니”로 시작되는 작품은 늙지 않고 젊어보려는 욕구에도 불구하고 찾아드는 백발은 어쩌지 못하고 젊은 여인을 탐하는 자신의 인간적 욕구를 “이따금 꽃밭을 지날 제면 죄지은 듯 하여라.”라고 솔직히 고백함으로써 죄책감을 진솔하게 드러내고 있다. 늙음을 가져오는 자연의 질서에 맞서보려는 안간힘과 죄책감이 인간미를 더해주고 있다.
|
'좋은글·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人事는 萬事라는데- 大公無私 (0) | 2013.01.11 |
---|---|
[스크랩] 과부 잠 못들게 하는 밤꽃향기 (0) | 2013.01.07 |
[스크랩] 13월의 태양 (0) | 2013.01.01 |
[스크랩] 죽기전에 꼭 가봐야할 旅行地 50곳(28) - 스페인 바르셀로나 (Barcelona) (0) | 2012.12.31 |
[스크랩] 이 세상 사는 날 동안 (0) | 2012.12.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