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2시께 헬기편으로 독도에 내려 1시간 10분간 독도에 머물렀다.
이 대통령은 독도에서 윤장수 경비대장으로부터 업무보고를 받은 뒤 초소 경비대를 둘러보고 '한국령(韓國領)'이라고 쓰인 바위에 올라 사진 촬영을 했다.
이어 독도를 한바퀴 돌아본 뒤 독도 전사자 추모비를 찾아 헌화ㆍ묵념을 했고, 경비대 식당에서 '독도 지킴이' 김성도(73)씨 부부 등과 다과를 함께 했다.
이 대통령은 "독도는 진정한 우리의 영토이고 목숨 바쳐 지켜야 할 가치가 있는 곳"이라며 "긍지를 가지고 지켜 나가자"고 강조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오전 11시30분께 헬기편으로 울릉도에 도착, 김관용 경북지사와 최병호 울릉군의회의장, 새마을지도자, 노인회 회장 등 지역인사와 오찬간담회를 열었다.
이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취임 초부터 오려고 했는데 되지 않았다"면서 울릉군수에게 '녹색섬 울릉도'라고 쓴 친필 휘호를 전달했다.
이 대통령의 이날 독도 방문은 8ㆍ15 광복절을 앞두고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사실을 대내외에 공식 선포하는 셈이어서 주목된다.
그동안 일본의 잇따른 역사적 망언과 도발이 우리의 '조용한 외교'에서 비롯됐다는 비판이 적지 않은 상황에서 국가원수로서 독도 영유권 논란에 쐐기를 박는다는 의미로도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은 일본이 올해에도 '독도는 일본 땅'이라는 억지주장을 되풀이하고, 한국 외교백서의 독도 영토 표기에 대해 항의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진 것이어서 한-일 관계는 크게 경색될 것으로 보인다.
일본 정부는 이 대통령이 독도를 방문한 것이 확인되자 무토 마사토시 (武藤正敏) 주한 일본 대사를 즉각 소환하는 등 강력히 반발했다.
실제로 우리 정부는 이 대통령의 울릉도ㆍ독도 방문을 일본 정부에 사전 통보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청와대 핵심 참모는 "울릉도와 독도는 엄연한 우리 땅"이라며 "우리 대통령이 우리 영토에 가는 것인데 사전 통보는 말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은 극비리에 전격적으로 진행됐으며, 이 대통령이 직접 지시하고 결심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 대통령은 취임 초부터 울릉도ㆍ독도를 방문하겠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실제로도 실행계획도 세워놓고 있었다"고 말했다.
*** 당연한 주권행사, 해마다 가야" vs. "日 분쟁지역화 전략에 말리는 것"
대한민국 대통령이 역사적ㆍ지리적ㆍ국내법적으로 우리 영토인 독도를 방문하는 것은 당연한 주권 행사지만, 한일 관계에 미칠 파장이나 독도 문제의 국제 분쟁화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우선 대통령의 독도 방문에 대한 외교가의 기본적인 분위기는 "우리 영토에 못 갈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 일본 측이 최근 독도 문제에 대해 상당히 공세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는 상황에서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은 일본 정치권에 우리 정부의 확실한 독도 수호의지를 보여주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재영 경남대 행정대학원 교수도 "그동안 대일관계에서 두려움이나 신중함 때문에 우리가 손해를 보는 경향이 있었는데 이제는 그런 기조에서 탈피해야 한다"면서 "앞으로 매년 대통령이 독도를 방문해 우리 땅임을 선언함으로써 실효적 지배를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또 "일본의 대외 정책은 항상 정치와 경제, 사회 분야가 별도로 가는 경향이 있다"면서 "처음에는 일본 정부가 국내 정치적 이유 등으로 강하게 반발할 수도 있겠지만 이번 일로 한일관계 전반이 악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정부 고위인사의 독도 방문이 일본의 독도 분쟁지역화 전략에 말리는 것이란 지적도 제기된다.
일본은 그동안 독도 영유권 문제를 양국 간 협의 내지는 협상 대상으로 만들려고 독도 문제를 국제 이슈화하는 분쟁지역화 전략을 구사해왔다. 앞서 일본은 1954년 독도 영유권 문제를 국제사법재판소(ICJ)에 제소하자는 제의를 하기도 했다.
정부 역시 그동안 일본의 도발에 대해 "일본의 도발엔 단호히 대처하되 국제 분쟁화 방지를 위해 과도한 대응은 자제한다"는 기조를 갖고 대응해 왔다.
이원덕 국민대 국제학부 교수는 "일본의 도발에 대해 그 수준에 맞는 대응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면서도 "우리가 먼저 문제를 제기해서 일본을 자극하고 분쟁을 야기하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여기에다 '대통령의 독도방문'은 일본의 중대한 독도 도발 시 사용할 수도 있는 대응카드였다는 점에서 이 대통령의 독도 방문 시기에 대해 일각에서는 아쉽다는 반응도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