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무릇은 석산이라고도 하며 수선화과 여러해살이풀이다. 그 외에도 용조화, 산오독, 산두초, 야산, 붉은상사화, 상사화, 바퀴잎상사화 등 딴 이름이 있다. 일본에서 들어왔으며 절에서 흔히 심고 산기슭이나 풀밭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비늘줄기는 넓은 타원 모양이고 지름이 2.5∼3.5 cm이며 겉껍질이 검은 색이다.
꽃은 9∼10월에 붉은 색으로 피고 잎이 없는 비늘줄기에서 나온 길이 30∼50cm의 꽃줄기 끝에 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열매를 맺지 못하고 꽃이 떨어진 다음 짙은 녹색의 잎이 나오는데, 이 잎은 길이가 30∼40cm이고 다음해 봄에 시든다.
상사화는 절 근처에서 많이 번식하고 있다. 상사화는 잎이 죽어야 꽃이 비로소 피기 때문에 잎과 꽃이 서로 볼 기회가 없고, 또한 열매도 맺지 못한다. 아마도 수도하는 스님에게는 딱 맞는 꽃이라서 인가 모르겠다.
여름에 잎이 다 말라 죽고 난 후, 가을에 꽃이 피므로 잎과 꽃이 서로 만나지 못하기 때문에 서로가 애절하게 그린다는 뜻에서 상사화라고 불린다는 속설도 있다.
언젠가 고창 선운사를 방문했을 때 꽃무릇이 만발한 아름다운 모습을 본 기억이 있는데 대전시 서구청에서 개설한 “서람이 자치대학”에 강의를 들으러 갔다가 어찌된 일인지 청사 앞 화단에 심어진 꽃무릇이 활짝 피어 있는 것을 보고 카메라 앵글을 맞추게 되었다.
출처 : 정다운 가을
글쓴이 : 만대 원글보기
메모 :
'꽃,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스민 (0) | 2007.04.24 |
---|---|
[스크랩] 고구마꽃을 아시나요~~~~~~~ (0) | 2007.04.24 |
[스크랩] 겨울 장미 (0) | 2007.04.24 |
[스크랩] 조팝나무 (0) | 2007.04.24 |
[스크랩] 동백 (0) | 2007.04.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