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집웅
히말라야 14봉
1. 에베레스트 Everest
8850M
위치 :
네팔 히말라야 (네팔, 중국 접경)
초등(初登)
순위 : 2 (1953년) 첫 등반가
: 힐러리, 텐징 (영국 원정대) 1852년
영국 측량 부대에 의해 발견된 에베레스트산의 이름은
측지학자
에베레스트 경의 이름에서 따왔다.
본디 이름은
티벳트어로 초모룽마, '세계의 여신'이라는 뜻이다.
영국
원정대는 1921년부터 1953년 사이 10번 도전 끝에 성공하였다.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01.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02.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03.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04.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05.jpg)
2. K2 8,611m
위치 :
카라코람 (파키스탄)
초등 순위 : 4 (1954년)
첫 등반가 : 콤파뇨니, 라체델리 (이탈리아 원정대)
히말라야에서 2번째로 높은 봉우리.
영국 측량대에서 측량된 산으로 2번째로 측량되,
K2라는 명칭이 붙여졌으며 지금도 이 명칭을 사용한다.
1892년 첫 원정대가 등정하였으며(도중 실패),
피라미드처럼 깍아지른 모습의 경사 때문에 이탈리아,
미국의 여러 원정대가 고전하였다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06.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07.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08.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09.jpg)
3. 칸첸중가
Kanchenjunga 8598m
위치 : 시킴
히말라야 (인도)
초등 순위 : 7
(1955년)
첫 등반가 : 조지 밴드, 조 브라운 (영국
원정대)
가장 먼저 알려진 히말라야 8000m급
봉우리로
K1이라는 명칭도 가지고
있다.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10.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11.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12.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13.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14.jpg)
4. 로체
Lhotse 8,516m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9
(1956년)
첫 등반가 : 라이스, 루흐징거 (스위스
원정대)
바로 옆에 있는 에베레스트산에 실체가 가려져 잘 알려지지
않았으나
1921년 첫 원정대에 의해 로체라 이름이
붙여졌다.
로체는 '남쪽 봉우리'라는
뜻.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15.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16.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17.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18.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19.jpg)
5. 마칼루 Makalu 8463 m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6 (1955년)
첫 등반가
: 프랑코 (프랑스 원정대)
1921년
처음 알려졌다.
뉴질랜드,
미국, 프랑스 세나라가 경쟁을 하였으나,
우수한
장비와 계획적인 등반으로 프랑스가 손쉽게 정복하였다.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20.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21.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22.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23.jpg)
6. 초오유 Cho Oyu 8201 m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8
(1954년)
첫 등반가 : 티히, 파상, 요할라 (오스트리아 원정대)
마칼루와 마찬가지로 1921년에 비로소 발견되었다.
1954년 오스트리아 원정대에 의해 단 4일 만에
정복되었다.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24.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25.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26.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27.jpg)
7. 다울라기리 Dhaulagiri 8167m
위치 :
네팔 히말라야 (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13 (1960년)
첫 등반가
: 딤베르거 등 5명 (스위스-오스트리아 원정대)
여러 나라가
8번 도전 끝에 정복하였다.
사방이
낭떨어지로 험준한 얼음 요새는 뒤늦게
스위스,
오스트리아 원정대에 의해 정복되었다.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28.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29.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30.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31.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32.jpg)
8. 마나슬루 Manaslu 8163 m
위치 :
네팔 히말라야 (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8 (1956년)
첫 등반가
: 이마니시 등 3명 (일본 원정대)
마나슬루는
인도어로 '영혼'이라는 뜻이다
일본은
1953년부터 1956년까지 3차례의 원정대를 보냈다.
중간에 마을
주민들의 방해가 있었지만,
1956년에
3차 원정대에 의해 정복되어,
당시
패전국의 설움을 안고 살았던 국민들에게 희망을 주었다.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33.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34.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35.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36.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37.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38.jpg)
9. 낭가파르바트
Nanga Parbat 8,126m
위치 :
카라코람 (파키스탄)
초등 순위
: 3 (1953년)
첫 등반가
: 헤르만 볼 (독일 원정대)
1895년
히말라야 8천m급 봉우리 중에서 가장 먼저 등반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첫
도전부터 1953년 정복까지 무려 31명의 희생자를 냈다.
독일은
6차례의 원정 끝에 정상에 도달할 수 있었다.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39.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40.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41.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42.jpg)
10.
안나푸르나 Annapurna 8,091m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1
(1950년)
첫 등반가 : 에르조그, 라슈날 (프랑스
원정대) 프랑스 원정대는 조직적인 계획과 신식 등반 장비
덕분에
단 한 번의 도전으로 정상에
올랐다.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43.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44.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45.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46.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47.jpg)
11. 가셔브룸 1 (히든 피크)
Gasherbrum 1 (Hidden Peak) 8,068m
위치 :
카라코람(파키스탄)
초등 순위
: 12 (1958년)
첫 등반가
: 세닝, 클린치 (미국 원정대
이 산의 또 다른 이름은 히든
피크이다.
다른 봉우리에 가려 숨겨져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몇 번의 시도
끝에 1958년 미국 원정대는
정상에 올라 강대국의 체면을 살릴 수
있었다.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48.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49.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50.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51.jpg)
12. 브로드 피크 Broad Peak 8,047m
위치 :
카라코람 (파키스탄)
초등 순위
: 11 (1957년)
첫 등반가
: 딤베르거, 불 (오스트리아 원정대) 4명의
오스트리아인 대원이 전부인 원정대는
역대 가장
적은 비용으로 정복에 성공하였다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52.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53.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54.jpg)
13. 가셔브룸 2 Gasherbrum 2 8,035m
위치 :
카라코람(파키스탄)
초등 순위
: 10 (1956년)
첫 등반가
: 라르히 등 3명 (오스트리아 원정대)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55.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56.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57.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58.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59.jpg)
14. 시샤팡마 (고사인탄)
Shisha Pangma (Gosainthan) 8,013m
위치 : 네팔 히말라야(네팔, 중국
접경)
초등 순위 : 14
(1964년)
첫 등반가 : 쉐칭 등 10명 (중국
원정대)
히말라야 8천m 고봉 중에서 가장 깊숙히
있으며,
중국령 티베트에 속하기 때문에 다른 나라 원정대의 접근이
어려웠다.
이런 점을 이용한 중국은 최초 등정에
성공하였다.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60.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61.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62.jpg)
![](http://senka36.iptime.org/~lyk36/phousa22/h63.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