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온도
- 발아적온 : 30℃ (15℃이하에서 지연, 10℃이하 불량)
- 적산온도 : 2,500~3,000℃
- 생장 및 개화적온 : 20~25℃ (화아분화 15~25℃ 전후)
- 지상부와 뿌리생육 : 22~27℃
- 일장반응
- 단일성 식물 : 10시간이내 단일조건에서 30일이내 개화
※ 16시간 이상이면 꽃이 피지 않음
- 토양조건
- 콩은 수분이 많이 필요한 작물 (밀, 보리, 옥수수의 2배 필요)
- 생육에 알맞은 토양수분 : 포화수분의 70%
- 최적 pH : 6.0~6.5
- 콩의 성분
콩 종실의 성분함량 (시료 100g중)
성 분 |
열량 (cal) |
단백질(g) |
지질 (g) |
당질 (g) |
무기물(mg) |
비타민(mg) |
나이아신 |
칼슘 |
철 |
A(i. u) |
B1 |
B2 |
콩 |
335 |
38 |
18 |
7 |
208 |
6.5 |
140 |
1.03 |
0.30 |
2.1 |
밀가루 |
357 |
39 |
21 |
- |
197 |
6.2 |
140 |
0.77 |
0.28 |
2.0 | |
- 장콩 및 두부콩 : 껍질색이 황색이고 100알 무게 17g 이상 중대립종 으로 단백질 함량 40% 이상 품종 선택
- 나물콩 : 껍질이 얇고 콩알이 작은 것이 유리, 100알 무게 13g 내외가 적당
- 밥밑콩 : 콩알크기가 클수록 좋으며 껍질색은 흑, 녹, 갈색 등
- 풋콩용 : 조생종으로 고투리가 크고 색깔이 선명한 품종선택
※ 콩알의 크기, 껍질색깔, 균일성, 눈색, 광택정도, 병해충피해 정도 등 외관상 품질 검정후 종자 준비
- 종자준비 및 소독
- 파종 적기
- 지온 15℃이상시 파종가능하나 출아일수를 고려한 적기는 20℃ 이상일 때임
씨부림때와 수량 (작시 : ‘69~’70)
씨뿌림때 / 지 역 |
5.10 |
5.25 |
6.10 |
6.25 |
7.10 |
수원 |
(206kg) 100% |
96 |
91 |
62 |
51 |
이리 |
(204) 100 |
92 |
86 |
72 |
- |
대구 |
(215) 100 |
100 |
86 |
75 |
48 | |
※ 제때를 넘겨 씨뿌림때가 1일 늦어짐에 따라 1~2%(약 3kg) 감수
- 파종방법
|
1모작 |
2모작 |
이랑나비(cm) |
60 |
60 |
포기사이(cm) |
15~20 |
10~15 |
본/포기 |
2 |
2 |
포기/10a(천주) |
8.3~11.0 |
11.0~16.6 |
본/10a(천본) |
(16.6~22.0) |
(22.0~33.2) | |
- (1) 점뿌림
- 본엽 1매 출현 이전에 포기당 2본만 남기고 반드시 솎음 실시
- 파종깊이 : 3~5cm (2cm이내시 발아불량우려)
- (2) 기계파종 (줄뿌림)
- 줄뿌림파종기를 이용하여 파종할 경우 품종별 종자크기에 맞추어 롤러홈 크기조절 파종
- 단경밀식 적응품종 : 30~40cm간격 4줄 파종
- 일반품종 : 60~65cm 간격 2줄 파종
- 밭조건에 따라 파종깊이(3~5cm 조절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무경운 (최소경운) 조파, 무경운 보릿골산파 휴립광산파, 전면산파 등의 방법이 있다.
품종별 종자크기에 따른 파종량 (작시, 농기계연, ‘90)
품 종 |
롤러홈크기(mm) |
1m당 파종립수(개) |
파종량(kg/10a) |
적 파 |
만 파 |
적 파 |
만 파 |
적 파 |
만 파 |
은하콩 |
4.4 |
6.2 |
13.2 |
19.8 |
2.8 |
4.2 |
두유콩 |
6.1 |
8.5 |
13.2 |
19.8 |
3.8 |
5.7 |
만리콩 |
8.3 |
11.8 |
13.2 |
19.8 |
5.2 |
7.7 |
황금콩 |
9.4 |
13.2 |
13.2 |
19.8 |
6.0 |
9.0 | |
트랙타부착 줄뿌림 파종기의 파종노력 및 소요경비 (작시, 농기계연, ‘90)
파종방법 |
재식거리 (cm) |
파종노력 |
파종경비 |
시간 (분/10a) |
생력화정도 (%) |
비용 (원/10a) |
절감효과 (%) |
줄뿌림파종기 |
4조파(30-40) |
25.8 |
97 |
4,832 |
85 |
2조파(60) |
31.7 |
96 |
5,937 |
81 |
관행(인력) |
점파(60×15) |
887.9 |
0 |
31,763 |
0 | |
- 파종량
- 종자의 크기에 따라 파종량이 달라지는데 적정 파종량 기준은 다음과 같다.
모작별, 종자크기별 파종량 기준
|
1 모 작 |
2 모 작 |
소 립 종 |
3~4kg |
4~ 6kg |
중 립 종 |
5~6kg |
6~ 8kg |
대 립 종 |
6~7kg |
8~10kg | |
※ 소립 150g, 중립 200g, 대립 250g/1,000알 기준
- 콩 산파 휴립배토 재배시는 종자량이 많이 소요된다.
콩산파 휴립배토 재배시 적정 파종량 (kg/10a)
|
단 작 |
맥 후 작 |
대 립 종 |
10kg |
10~12kg |
소 립 종 |
5 |
8 | |
- 시비기준량
(성분량 kg/10a)
구분 |
질소 |
인산 |
칼리 |
기경지 |
3.0 |
3.0 |
3.4 |
개간지 |
6.0 |
8.0 |
6.0 | |
- 파종전에 질소를 전량 밑거름으로 사용하면 쓰러짐
- 전용복비 시용 기준
- 복비(8-8-9) : 보통밭 40kg(2포), 개간한 밭 60kg(3포)
- 시비방법
- 보통밭 : 갈기 전에 기준량 전량을 흩어 뿌리고 15cm 깊이로 로타리 경운
- 개간지 (개간한지 5년 이내의 포장)
- 1차년도 : 인산질비료는 기준량 대신 용성인비 또는 용과린으로 10a당 150~250kg (질땅은 많이, 모래땅은 적게 줌)
- 2차~5년도 : 개간지 기준량 사용
※ 습해로 인하여 뿌리의 기능이 떨어져 양분흡수가 좋지 않을 경우에는 비료를 물에 타거나 액체비료 엽면시비
- 석회 및 퇴비시용
- 콩은 타작물에 비해 산성에 약하고 석회흡수량이 많으므로 반드시 석회요구량 검정결과에 따라 알맞은 양을 주어야함
(적정 pH 6.5~7.0) ※ 앞그루작물 재배시 석회를 주고 뒷그루로 콩을 심을 때는 주지 않아도 됨
- 퇴비는 보통밭 1,000kg이상, 개간지 1,500kg이상 넣음
- 근류균 접종
- 신개간지에 처음 콩을 재배할때는 뿌리혹균이 없어 접종을 해주어야함
- 방법 : 씨앗과 종균을 혼합하여 뿌리거나 콩을 재배하던 땅의 흙을 10a당 30~60kg정도 새땅에 뿌려줌
제초제 사용
우리나라의 지역별 콩밭 잡초 (구자옥 등, 1978)
지 역 |
많이 나는 잡초 |
비교적 많이 나는 잡초 |
중북부 (경기, 강원) |
바랭이, 방동산이, 쇠비름 |
피, 여뀌, 깨풀, 메꽃, 개비름 |
중 부 (충남부) |
바랭이, 여뀌, 깨풀 |
피, 쇠비름, 방동산이 |
중남부 (전남북,경남북) |
바랭이, 냉이, 쇠비름, 여뀌, 깨풀 |
마디풀, 방동산이, 피, 쇠뜨기, 비름, 벼룩나물 |
제주도 |
방동산이, 쇠비름, 털비름 |
바랭이, 비름, 깨풀, 쑥, 석류풀 | |
- 씨뿌림 직후 및 북주기후 제초제 2회 사용으로 완전 생력화
- 토양처리제는 씨뿌린 직후나 늦어도 2~3일내, 경엽처리제는 잡초 2~5 엽기에 사용
- 약을 쓸때 밭의 수분이 알맞을 때는 입제, 가물때는 유제 또는 수화제 사용
- 광엽 및 화본과에 잘 듣는 잡초약을 섞어 쓰면 동시에 두가지 잡초를 방제할 수 있음
- 제초제를 사용한 포장은 씨뿌린 후 30~40일경 북주기를 겸함 인력제초
- 모래땅에 사용할때는 사용량을 줄이거나 사용치 않는 것이 안전함
콩밭 잡초약의 종류와 사용법
구 분 |
제초제명 |
적용잡초 |
사용적기 |
사용량 |
토양처리제 |
알라유제 &midddot; 입제 |
일년생잡초 |
파종복토직후 |
200㎖/10a |
메토프유제 |
〃 |
〃 |
300㎖ |
에탈푸로라린유제 |
〃 |
〃 |
60㎖ |
리누론수화제 |
〃 |
〃 |
100-150g |
경엽처리제 |
뉴원싸이드유제 |
화본과잡초 |
잡초3-5엽기 |
100㎖ |
세톡시딤유제 |
〃 |
잡초2-4엽기 |
150㎖ | |
적심 (순지르기)
배토 (북주기)
- 잡초약 사용시 : 씨뿌린 후 30~40일경 제1본엽까지 1회 실시
- 잡초약 미사용시 : 제초를 겸한 2~3회 북주기 실시
시기 및 방법 (강원 : ’67)
회 수 |
시 기 |
북주기 부위 |
효 과 |
1차 |
본엽 2~3매시 |
떡잎마디까지 |
100% |
2차 |
4~5매시 |
홑잎마디까지 |
111 |
3차 |
6~7매시 |
제1본엽마디까지 |
137 | |
- 김매기와 북주기 작업은 꽃피기 이전에 실시하되 줄기가 목질하되기 전에 해서 새뿌리의 발생을 많게 해야 함
- 북주기를 하면 물빠짐, 토양통기, 새뿌리 발생을 많게하고 쓰러짐을 방지 하는 효과가 있음
병해충 방제
재해 경감대책
가. 적기수확
- 콩잎이 누렇게 변하여 떨어지고 꼬투리의 80~90%이상이 고유성숙 색깔로 변하는 시기로부터 7~14일후 수확
- 품종에 따라 차이 있으나 보통 개화 후 60일 전후임
※ 수확시기 늦으면 탈립되거나 미이라병, 자주무늬병 등 이병되어 품질저하
콩 수확시기와 수량(’88, 농진청)
구 분 |
개화 후 일수(일) |
40 |
45 |
50 |
55 |
60 |
65 |
수량(㎏/10a) |
90 |
118 |
120 |
121 |
125 |
125 |
수량지수 |
73 |
94 |
95 |
96 |
100 |
100 |
100립중(g) |
15.8 |
18.4 |
19.2 |
21.8 |
20.6 |
21.2 | |
수확방법별 노력절감효과 (작시, 농기계연, ’90-91)
구 분 |
기 종 |
시간 (분/10a) |
절감효과 |
수 확 |
인 력 바인더 콤바인(예취+탈곡) |
358.3 51.1 69.3 |
0% 86 81 |
탈 곡 |
인 력 투입식탈곡시 주행형투입식탈곡기 |
206.8 50.8 25.3 |
0 75 88 |
조 제 |
인 력 종자선별기 |
134.4 38.1 |
0 72 | |
나. 탈곡
- 수확 후 2~3일 말린 후 탈곡 (수분 15% 이하시)
- 수확 후 오래 쌓아두면 자주무늬병, 콩나방 등의 피해로 품질저하
- 탈곡 후 수분함량 11.5~13.5%될 정도로 말려서 저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