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

[스크랩] 콩재배 방법

제봉산 2014. 1. 13. 13:20

  • 콩 재배
  • 온도
    • 발아적온 : 30℃ (15℃이하에서 지연, 10℃이하 불량)
      - 적산온도 : 2,500~3,000℃
    • 생장 및 개화적온 : 20~25℃ (화아분화 15~25℃ 전후)
    • 지상부와 뿌리생육 : 22~27℃
  • 일장반응
    • 단일성 식물 : 10시간이내 단일조건에서 30일이내 개화
      ※ 16시간 이상이면 꽃이 피지 않음
  • 토양조건
    • 콩은 수분이 많이 필요한 작물 (밀, 보리, 옥수수의 2배 필요)
    • 생육에 알맞은 토양수분 : 포화수분의 70%
    • 최적 pH : 6.0~6.5
  • 콩의 성분
콩 종실의 성분함량 (시료 100g중)
성 분 열량
(cal)
단백질(g) 지질
(g)
당질
(g)
무기물(mg) 비타민(mg) 나이아신
칼슘 A(i. u) B1 B2
335 38 18 7 208 6.5 140 1.03 0.30 2.1
밀가루 357 39 21 - 197 6.2 140 0.77 0.28 2.0

품종

  • 장콩 및 두부콩 : 껍질색이 황색이고 100알 무게 17g 이상 중대립종 으로 단백질 함량 40% 이상 품종 선택
  • 나물콩 : 껍질이 얇고 콩알이 작은 것이 유리, 100알 무게 13g 내외가 적당
  • 밥밑콩 : 콩알크기가 클수록 좋으며 껍질색은 흑, 녹, 갈색 등
  • 풋콩용 : 조생종으로 고투리가 크고 색깔이 선명한 품종선택

※ 콩알의 크기, 껍질색깔, 균일성, 눈색, 광택정도, 병해충피해 정도 등 외관상 품질 검정후 종자 준비

파종

  • 종자준비 및 소독
    • 가급적 보급종이나 시범단지산으로 순도높은 종자 준비
    • 생리적 퇴화방지를 위해 3~4년마다 종자교환
      콩 장려품종의 채종단계별 퇴화정도 (‘82 산학협동)
        기본식물 자 가 채 종 년 수
      1~2년 3~4년 5~6년
      이병입율(%) 6.6 21.5 39.2 50.6
      혼종입율(%) 1.2 2.9 9.5 12.2
    • 병의 예방과 발아율 제고를 위하여 종자소독 필수 실시
      • 소독은 발아중 종피에 전염된 병균(탄저병, 소균병, 자주무늬병)과 토양으로부터 침입한 균을 억제하고 부패를 방지하므로
        발아율이 높아짐
      • 소독방법 : 종자 1kg에 종자소독약 베노람수화제(벤레이트티)나 지오람 수화제(호마이) 4~5g을 종자에 고루 묻도록
        분의소독 실시
      구 분 소독방법 발아율 자주무늬병 비 고
      떡잎이 갈색으로 변한 비율 병에걸린 비율
        % % % % 자주무늬병에 걸린
      씨앗 사용
      종자소독약수화제 제1호
      (벤레이트티)
      0.4%
      종자분의
      73.3 61.8 14.4
      무 처 리 - 66.7 74.0 57.0
    • 콩 파종시 비둘기 등 새 피해로 조류 기피제 적극활용
      • 피해조류 : 까치, 꿩, 비둘기, 기타
      • 콩 조류 기피제 (새총FS) 약제 방제 효과
      사용약제 새총FS 무처리 새총FS 무처리
      수행기관 충북, 2000 한국삼공(주), 1999
      공시품종 대원콩 황금콩
      파종월일 2000. 5. 18 1999. 5. 21
      약처리일 2000. 5. 18 1999. 5 .19
      조사일 2000. 6. 2 1999. 6. 5

      ※ [새총FS] 방제시 일본 성적

      • 옥수수 : 조류기피효과 93~80%(‘95~’96, 가고시마현 및 토찌기현 축시)
      • 콩 : 조류(비둘기) 기피효과 80~90%(‘95~’96, 아키타현 및 니이카 다현 농시)
      • 콩 : 콩 잔조루율 73% (‘95, 야마카타현 농시)
      • 콩 자주무늬병 : 방제효과 94% (‘95, 아바라기현 농업연구소)
  • 파종 적기
    • 지온 15℃이상시 파종가능하나 출아일수를 고려한 적기는 20℃ 이상일 때임
      • 1모작 : 5월상중순 (단, 비옥지 5월중하순)
      • 2모작(남부) : 6월상중순

        ※ 늦게 심을수록 수량이 떨어짐으로 앞그루작물은 익음대가 빠른 품종을 재배하여 수확직후 파종

    씨부림때와 수량 (작시 : ‘69~’70)
    씨뿌림때 / 지 역 5.10 5.25 6.10 6.25 7.10
    수원 (206kg) 100% 96 91 62 51
    이리 (204) 100 92 86 72 -
    대구 (215) 100 100 86 75 48

    ※ 제때를 넘겨 씨뿌림때가 1일 늦어짐에 따라 1~2%(약 3kg) 감수

  • 파종방법
      1모작 2모작
    이랑나비(cm) 60 60
    포기사이(cm) 15~20 10~15
    본/포기 2 2
    포기/10a(천주) 8.3~11.0 11.0~16.6
    본/10a(천본) (16.6~22.0) (22.0~33.2)
    • (1) 점뿌림
      • 본엽 1매 출현 이전에 포기당 2본만 남기고 반드시 솎음 실시
      • 파종깊이 : 3~5cm (2cm이내시 발아불량우려)
    • (2) 기계파종 (줄뿌림)
      • 줄뿌림파종기를 이용하여 파종할 경우 품종별 종자크기에 맞추어 롤러홈 크기조절 파종
        • 단경밀식 적응품종 : 30~40cm간격 4줄 파종
        • 일반품종 : 60~65cm 간격 2줄 파종
      • 밭조건에 따라 파종깊이(3~5cm 조절할 수 있으며 그 외에도 무경운 (최소경운) 조파, 무경운 보릿골산파 휴립광산파, 전면산파 등의 방법이 있다.
    품종별 종자크기에 따른 파종량 (작시, 농기계연, ‘90)
    품 종 롤러홈크기(mm) 1m당 파종립수(개) 파종량(kg/10a)
    적 파 만 파 적 파 만 파 적 파 만 파
    은하콩 4.4 6.2 13.2 19.8 2.8 4.2
    두유콩 6.1 8.5 13.2 19.8 3.8 5.7
    만리콩 8.3 11.8 13.2 19.8 5.2 7.7
    황금콩 9.4 13.2 13.2 19.8 6.0 9.0
    트랙타부착 줄뿌림 파종기의 파종노력 및 소요경비 (작시, 농기계연, ‘90)
    파종방법 재식거리
    (cm)
    파종노력 파종경비
    시간
    (분/10a)
    생력화정도
    (%)
    비용
    (원/10a)
    절감효과
    (%)
    줄뿌림파종기 4조파(30-40) 25.8 97 4,832 85
    2조파(60) 31.7 96 5,937 81
    관행(인력) 점파(60×15) 887.9 0 31,763 0
  • 파종량
    • 종자의 크기에 따라 파종량이 달라지는데 적정 파종량 기준은 다음과 같다.
    모작별, 종자크기별 파종량 기준
      1 모 작 2 모 작
    소 립 종 3~4kg 4~ 6kg
    중 립 종 5~6kg 6~ 8kg
    대 립 종 6~7kg 8~10kg

    ※ 소립 150g, 중립 200g, 대립 250g/1,000알 기준

    • 콩 산파 휴립배토 재배시는 종자량이 많이 소요된다.
    콩산파 휴립배토 재배시 적정 파종량 (kg/10a)
      단 작 맥 후 작
    대 립 종 10kg 10~12kg
    소 립 종 5 8

시비

  • 시비기준량
    (성분량 kg/10a)
    구분 질소 인산 칼리
    기경지 3.0 3.0 3.4
    개간지 6.0 8.0 6.0
    • 파종전에 질소를 전량 밑거름으로 사용하면 쓰러짐
  • 전용복비 시용 기준
    • 복비(8-8-9) : 보통밭 40kg(2포), 개간한 밭 60kg(3포)
      • 토양의 비옥도에 따라 가감 사용
  • 시비방법
    • 보통밭 : 갈기 전에 기준량 전량을 흩어 뿌리고 15cm 깊이로 로타리 경운
    • 개간지 (개간한지 5년 이내의 포장)
      • 1차년도 : 인산질비료는 기준량 대신 용성인비 또는 용과린으로 10a당 150~250kg (질땅은 많이, 모래땅은 적게 줌)
      • 2차~5년도 : 개간지 기준량 사용
      ※ 습해로 인하여 뿌리의 기능이 떨어져 양분흡수가 좋지 않을 경우에는 비료를 물에 타거나 액체비료 엽면시비
  • 석회 및 퇴비시용
    • 콩은 타작물에 비해 산성에 약하고 석회흡수량이 많으므로 반드시 석회요구량 검정결과에 따라 알맞은 양을 주어야함
      (적정 pH 6.5~7.0)
      ※ 앞그루작물 재배시 석회를 주고 뒷그루로 콩을 심을 때는 주지 않아도 됨
    • 퇴비는 보통밭 1,000kg이상, 개간지 1,500kg이상 넣음
  • 근류균 접종
    • 신개간지에 처음 콩을 재배할때는 뿌리혹균이 없어 접종을 해주어야함
    • 방법 : 씨앗과 종균을 혼합하여 뿌리거나 콩을 재배하던 땅의 흙을 10a당 30~60kg정도 새땅에 뿌려줌

관리

제초제 사용

우리나라의 지역별 콩밭 잡초 (구자옥 등, 1978)
지 역 많이 나는 잡초 비교적 많이 나는 잡초
중북부
(경기, 강원)
바랭이, 방동산이, 쇠비름 피, 여뀌, 깨풀, 메꽃, 개비름
중 부
(충남부)
바랭이, 여뀌, 깨풀 피, 쇠비름, 방동산이
중남부
(전남북,경남북)
바랭이, 냉이, 쇠비름, 여뀌, 깨풀 마디풀, 방동산이, 피, 쇠뜨기, 비름, 벼룩나물
제주도 방동산이, 쇠비름, 털비름 바랭이, 비름, 깨풀, 쑥, 석류풀
  • 씨뿌림 직후 및 북주기후 제초제 2회 사용으로 완전 생력화
  • 토양처리제는 씨뿌린 직후나 늦어도 2~3일내, 경엽처리제는 잡초 2~5 엽기에 사용
  • 약을 쓸때 밭의 수분이 알맞을 때는 입제, 가물때는 유제 또는 수화제 사용
  • 광엽 및 화본과에 잘 듣는 잡초약을 섞어 쓰면 동시에 두가지 잡초를 방제할 수 있음
  • 제초제를 사용한 포장은 씨뿌린 후 30~40일경 북주기를 겸함 인력제초
  • 모래땅에 사용할때는 사용량을 줄이거나 사용치 않는 것이 안전함
콩밭 잡초약의 종류와 사용법
구 분 제초제명 적용잡초 사용적기 사용량
토양처리제 알라유제 &midddot; 입제 일년생잡초 파종복토직후 200㎖/10a
메토프유제 300㎖
에탈푸로라린유제 60㎖
리누론수화제 100-150g
경엽처리제 뉴원싸이드유제 화본과잡초 잡초3-5엽기 100㎖
세톡시딤유제 잡초2-4엽기 150㎖

적심 (순지르기)

  • (1) 대상포장
    • 배게 심었을 때, 거름을 많이 주었거나 거름기가 많은 땅에 심었을 때
    • 일찍 심고 비가 많이 와서 웃자랐을 때
      ※ 늦게 뿌렸거나 생육이 불량한 것은 수량이 떨어지므로 원칙적으로 순지르기를 하지 않으나 강우 등으로 웃자라서 도복 우려가 있을 때는 순지르기를 해줌
    • 단경중콩은 순지르기를 하여도 가지치기가 잘 안되므로 알맞은 밀도 유지
  • (2) 시기 및 방법
    • 본엽 5~7매시 5매 남기고 생장점을 잘라줌
    콩의 생육상태와 순지르기의 효과
    생육구분 처리구분 익음때
    (월,일)
    단수
    (㎏/10a)
    수량지수
    (%)
    생육이 왕성할때 순 안지른것
    순 지른것
    10.14
    10.13
    233
    257
    100
    110
    생육이 보통일때 순 안지른것
    순 지른것
    10.11
    10.12
    289
    281
    100
    97

    ※ 생육이 왕성할때의 순지르기는 증수효과를 가져오나 생육이 보통일때의 순지르기는 오히려 감수를 가져옴

    지역별 순지르기 효과 (각도 : ’67)
    구분 / 지역 1 모작 (5.20) 2 모작 (6.20)
    안지른것 순지른것 안지른것 순지른것
      % % % %
    청 주 100 (180㎏) 108 100 (202㎏) 108
    이 리 100 (268㎏) 112 100 (203㎏) 106
    광 주 100 (204㎏) 105 100 (185㎏) 111
    대 구 100 (260㎏) 169 100 (140㎏) 116

    ※ 순지르기 : 본엽 5매시

배토 (북주기)

  • 잡초약 사용시 : 씨뿌린 후 30~40일경 제1본엽까지 1회 실시
  • 잡초약 미사용시 : 제초를 겸한 2~3회 북주기 실시
    시기 및 방법 (강원 : ’67)
    회 수 시 기 북주기 부위 효 과
    1차 본엽 2~3매시 떡잎마디까지 100%
    2차 4~5매시 홑잎마디까지 111
    3차 6~7매시 제1본엽마디까지 137
  • 김매기와 북주기 작업은 꽃피기 이전에 실시하되 줄기가 목질하되기 전에 해서 새뿌리의 발생을 많게 해야 함
    • 북주기를 하면 물빠짐, 토양통기, 새뿌리 발생을 많게하고 쓰러짐을 방지 하는 효과가 있음

병해충 방제

  • (1) 병해
    • 잎에 나타나는 병 : 콩 모자이크 병, 갈색무늬병, 세균성 점무늬병, 노균병, 불마름병
    • 줄기 및 뿌리에 나타나는 병 : 먹뿌리 썩음병, 탄저병, 시들음병
    • 종자에 나타나는 병 : 자주빛무늬병, 미이라병
  • (2) 충해
    • 꼬투리에 피해를 주는 해충 : 콩나방, 노린재, 팥알락병나방
    • 잎을 먹는 해충 : 콩잎말이나방, 콩은무늬밤나방, 미세미나방 등 나방류, 진딧물, 점박이응애
    • 줄기 속을 먹는 해충 : 콩줄기굴파리, 콩줄기 명나방
    • 뿌리에 피해를 주는 해충 : 콩줄기 굴파리, 거세미, 콩시스트선층
    • 병해충 동시방제
      • 발생시기가 비슷한 병해충 방제를 위하여 살균제와 살충제 혼합 동시방제
    병충해 동시방제 요령
    구분 방제시기 대상병해충 약 제 명 방 제 법
    1차 7월하순
    ~
    8월상순
    갈색무늬병, 노균병,
    먹뿌리썩음병, 자주빛 무늬병,
    미이라병, 은무늬방나방,
    진딧물, 콩줄기굴파리,
    콩줄기 명나방 등
    살균제(베노밀수화제,
    만코지수화제)와 살충제
    (디프수화제, 피리모수화제,
    지노멘수화제, 메프수화제)
    등을 혼합하여 살포한다.
    10a당
    물100~200ℓ에
    타서 뿌림
    2차 8월하순
    ~
    9월상순
    세균성점무늬병, 먹뿌리썩음병,
    자주빛무늬병, 미이라병,
    콩나방, 노린재류
    주요 병해충 방제기준
    병 충 명 방 제 법
    경 종 대 책 약 제 방 제
    자주무늬병
    미이라병
    노균병
    ○ 병이 없는 씨앗 선택
    ○ 적기수확 및 탈곡
    - 탈곡전 장기간 쌓아 두지말 것
    ○ 종자소독
    ○ 만코지 수화제(다이센M-45)600배
    ○ 개화후(7월하순이후) 2~3회 뿌림
    괴저병
    모자이크병
    ○ 병이 없는 씨앗 선택
    ○ 저항성 품종재배
    - 덕유콩, 단엽콩, 장엽콩, 장백콩 황금콩,
    ○ 이병성품종 주위재배 금지
    (특히 재래종)
    ○ 메타유제(메타시스톡스) 1,000배, 피리모수화제
    1,500배액
    ○ 생육초기 진딧물방제 (5~6월)
    탄저병 ○ 병이 없는 씨앗선택
    ○ 3요소 균형시비
    ○ 씨앗소독
    ○ 만코지수화제(다이센M-45) 600배, 베노밀수화제
    (벤레이트) 1,500배액
    ○ 개화후 2~3회 뿌림
    먹뿌리
    썩음병
    ○ 상습지 저항성품종 재배
    - 황금콩, 덕유콩, 단엽콩
    ○ 생육후기(8중순 이후)
    물뺄도랑 정비
    -
    콩나방,
    노린재
    ○ 조생품종 선택으로 가해시기 회피 ○ 이화명나방약 유제1호 (스미치온, 호리치온)
    1,000배액
    ○ 8월상순~9월상순에 2~3회 뿌림
    노린재 피해가 적은 콩 품종 선택 재배(’97~’98, 경북)
    피해정도 심 함 약 함
    품종명 무안 단엽 장수 푸른 한남 단경 만리 삼남 신팔달콩2호 두유
    줄기길이(㎝) 81 67 90 91 73 46 55 60 45 47
    피해상황 상충밀도
    (마리/100포기)
    19.3 10.3 24.4 21.6 3.0 5.6 12.5 5.0 9.2 10.7
    피해꼬투리(%) 54.2 44.8 71.6 55.4 29.5 10.6 15.0 13.3 10.6 29.9
    피해콩율(%) 36.1 37.5 50.0 38.2 45.0 18.5 27.4 19.9 21.3 15.2
  • 노린재 방제대책
    • 콩 병해충 동시방제
      • 발생시기가 비슷한 병해충 방제를 위하여 살균제와 살충제 혼합 동시방제
      • 방제시기 → 1차 : 7월하순~8월상순, 2차 : 8월하순~9월상순
    병해충 동시방제 요령
    대상병해충 약 제 명 방 제 법
    갈색무늬병, 탄저병, 노균병,
    먹뿌리썩음병, 자주빛무늬병,
    미이라병, 은무늬밤나방, 진딧물,
    콩줄기굴파리, 콩줄기 명나방,
    노린재류 등
    살균제(베노밀수화제, 만코지수화제)
    와살충제(디프수화제, 피리모수화제,
    지노멘수화제, 메프수화제, 아조포유제
    나크수화제) 등 혼합 살포
    10a당
    물100~200ℓ에
    타서 뿌림
    • 노린재류 피해가 적은 품종 선택재배 : 두유콩, 신팔달콩2호, 삼남콩, 단경콩 등
    • 노린재 발생과 콩 착엽기가 가급적 일치하지 않도록 회피재배
    약제명(희석배수) 무 처 리 아조포유제(690) 메프수화제(800) 나크수화제(800)
    생충밀도(마리/100포기)
    10a당 종실무게(자수)
    4.3 192㎏(100) 3.7 279(145) 5.3 265(138) 3.0 279(145)

재해 경감대책

  • (1) 한발피해
    • 콩은 요수량이 많은 작물로 수분 부족시 수량 감소가 큼
    콩의 생육시기별 가뭄피해
    가뭄처리시기 익음때
    (월.일)
    줄기길이
    (㎝)
    가지수
    (개)
    꼬투리수
    (개)
    수량(주당)
    수량(g) 지수
    꽃눈분화기부터 15일간 9.4 41 6.3 78 24.5 64
    개화시부터 15일간 9.5 42 5.5 71 25.4 66
    개화종료부터 15일간 9.3 43 6.2 85 27.5 72
    개화종료 15일부터 15일간 8.31 44 6.2 113 33.6 88
    표 준 구 9.2 45 6.3 113 38.2 100

    ※ 가뭄 처리정도 : 토양수분 40% (표준구 70%)

    • 한발대책 : 관수가능 포장 물대기
      • 파종종자 살균제 처리 → 발아율 제고
      • 경토를 깊게하고 유기물 함량 높임 → 보비 &midddot; 보수력 향상
      • 중경, 제초실시(토양 모세관 구조 절단) → 토양수분 증발억제
      • 한발해 상습지는 밀식재배
    생육단계별 관수처리에 의한 콩의 생육 및 수량 (작시, 1994)
    공시품종 파종기
    (월.일)
    관수기간
    (관수회수)
    착협수
    (개)
    100립중
    (g)
    수 량
    (㎏/10a)
    지 수
    황 금 콩 6.20 영양생장기~성숙기(3회) 36.1 27.2 331 126
      무처리 28.9 27.0 263 100
    5.19 개화기~성숙기 55.7 28.3 298 121
      무처리 49.5 26.8 246 100
    화엄풋콩 5.19 종실비대기~성숙기(2회) 15.0 28.1 198 113
      무처리 17.5 27.1 175 100

    ※ 관수방법 : 고랑관수

  • (2) 습해
    • (가) 습해양상
      • 7월을 중심으로 한 장마기간 중 습해발생
      • 뿌리생육 및 활력저하
      • 양분흡수 및 물질전류 감소
      • 생육저하 및 수량감소
        • 생육초기 보다는 개화기~종자비대기의 과습장해에 의한 수량감소 큼
    • (나) 습해대책
      • 내습성 품종선택
      현재 장려품종의 내습성정도 (작시, ’98)
      습해지수 구분 품 종 명
      85%이상 새알콩, 무한콩, 장수콩, 단원콩, 만리콩, 태광콩,
      화엄풋콩, 진품콩, 익산나무라콩, 소백나물콩(10품종)
      75~84 중강 장엽콩, 황금콩, 밀양콩, 백운콩, 보광콩, 단경콩,
      은하콩, 큰올콩, 신팔달콩2호, 부광콩, 광안콩,
      푸른콩, 두유콩, 석량풋콩(14품종)
      65~74 중약 남해콩, 장경콩, 삼남콩, 검정콩1호, 신팔달콩, 금강콩(6품종)
      65% 이하 단엽콩, 한남콩, 단백콩, 명주나물콩, 진품콩1호(5품종)
      • 요소 엽면시비
        • 담수(지상 2~3㎝)로 인한 피해시 1% 요소액 엽면살포
      • 재배기술개선
        • 배수로 및 암거설치에 의한 정체수 제거
        • 시비량 조절, 배토작업, 적심 등에 의한 과번무 방지
        • 토양 침식방지 등
  • (3) 풍수해
    • (가) 풍수해 양상
      • 8~9월 태풍이 불어 올 경우 많이 발생
      • 상처로 인하여 생기는 호흡량의 증가
      • 기공의 폐쇄로 인한 건조피해
      • 작물 체온의 저하 등 직접적인 생리장해 유발
      • 도복에 따른 피해 및 해안지방의 염해
    • (나) 풍수해 대책
      • 방풍림, 방풍벽, 방풍망 설치
      • 내도복 품종재배 및 배토
      • 옥수수, 수수 등 키큰 작물 주위가 또는 혼작재배 등
  • (4) 도복피해
    • (가) 도복피해 양상
      • 비와 바람에 수반되어 일어나는 기상재해의 일종으로 줄기가 부러지는 것(좌절), 부러지지 않고 쓰러지는 것(도복)이 있다.
      • 잎이 엉키어 광합성 감퇴
      • 줄기상처에 의한 호흡증대 및 저장양분의 소모
      • 양분 이동 저하에 의한 수량 감소
      도복시기 및 각도에 따른 수량 (작시, ’89)
      도복각도 개화전 15일 개 화 기 개화후 15일 개화후 30일
      344㎏/10a(100) 343(100) 329(100) 324(100)
      40° 323(94) 312(91) 315(96) 284(88)
      60° 319(92) 305(89) 280(85) 299(92)
      80° 294(85) 264(77) 243(74) 260(80)
      평 균 320 306 292 292

      ※ ( )내는 수량지수

    • (나) 도복대책
      • 단경종을 포함한 내도복성 품정선택 재배
      • 적정 재식밀도 준수 및 균형시비
      • 적심, 배토에 의한 과번무 방지 등

수확 및 탈곡, 가공

가. 적기수확

  • 콩잎이 누렇게 변하여 떨어지고 꼬투리의 80~90%이상이 고유성숙 색깔로 변하는 시기로부터 7~14일후 수확
  • 품종에 따라 차이 있으나 보통 개화 후 60일 전후임
    ※ 수확시기 늦으면 탈립되거나 미이라병, 자주무늬병 등 이병되어 품질저하
콩 수확시기와 수량(’88, 농진청)
구 분 개화 후 일수(일)
40 45 50 55 60 65
수량(㎏/10a) 90 118 120 121 125 125
수량지수 73 94 95 96 100 100
100립중(g) 15.8 18.4 19.2 21.8 20.6 21.2
  • 수확방법 : 인력 및 기계수확
수확방법별 노력절감효과 (작시, 농기계연, ’90-91)
구 분 기 종 시간 (분/10a) 절감효과
수 확 인 력
바인더
콤바인(예취+탈곡)
358.3
51.1
69.3
0%
86
81
탈 곡 인 력
투입식탈곡시
주행형투입식탈곡기
206.8
50.8
25.3
0
75
88
조 제 인 력
종자선별기
134.4
38.1
0
72

나. 탈곡

  • 수확 후 2~3일 말린 후 탈곡 (수분 15% 이하시)
  • 수확 후 오래 쌓아두면 자주무늬병, 콩나방 등의 피해로 품질저하
  • 탈곡 후 수분함량 11.5~13.5%될 정도로 말려서 저장
출처 : 초막골 농원
글쓴이 : 청송촌者 원글보기
메모 :

'영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땅콩 재배 방법  (0) 2014.01.13
[스크랩] 콩 다수확 재배방법...~  (0) 2014.01.13
[스크랩] 콩 재배 방법  (0) 2014.01.13
막걸리식초만들기-2  (0) 2013.12.27
막걸리식초만들기  (0) 2013.1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