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경자
[ 자살의 미 (1968) ] 그녀의 인생에 자살이란 단어가 들어왔을 때 느꼈던 나름대로의 차가운 미학을 표현하고 있습니다. 잿빛 푸른 색으로 그려진 꽃과 구름으로 자살이라는 가장 극한 감정을 형상화하고 있습니다. 청춘의 문 (1968) ] 죽은 사람인양 회색빛 여인의 얼굴은 꿈을 꾸고 있는 듯 느껴지기도 합니다. 또한 그녀의 얼굴은 전통적 한국 여인과는 다르지요. 환상적인 여인의 얼굴과 분위기에서 천화백이 바라는 이국에의 동경을 느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마도 이 여인은 천 화백의 꿈이자 이상인 듯 합니다. 꽃과 나비 (1973) ] 그녀의 피부색은 그녀가 여기 한국의 사람은 아니라고 느끼게 하고 있네요. 그리고 화려한 공작새와 꽃들도 먼 이국의 정서를 물씬 풍기게 합니다. 여느 천 화백의 그림처럼 색감과 구성이 화려합니다. 이탈리아 기행 (1973) ] 1969년에 갔던 이탈리아에 대한 감흥을 3년 동안 이 작품으로 완성하였지요. 이탈리아 르네상스를 열었던 보티첼리의 그림과 멋진 건축물이 찍힌 사진, 여인의 장갑 그리고 양주병과 꽃으로 화폭을 채웠습니다. 몇 안 되는 소재들이지만 화려하게 표현된 이 작품으로 그녀는 자신의 느낀 이탈리아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孤 (1974) ] 무심한 듯 허망한 듯 바라보는 여인의 시선이 그녀의 짙은 피부색보다 더 내 가슴을 더 막막하게 합니다. 늘상 외로움을 품고 살았다는 천화백은 그림 속에 등장하는 여인에게 자신의 외로움을 덧입혀주었습니다. 사월 (1974) ] 사월의 신비로움과 화사함이 꽃잎 끝에서 뚝뚝 떨어지고 있네요. 강렬한 호랑 나비의 무늬보다 여인의 연보랏빛 입술에 먼저 시선이 가는 것은 왜일까요. [ 인도 올드 델리 (1979) ] 우리의 옛 시골 장터처럼 형성된 올드 델리 길가의 사람들의 모습을 풍경화로 담아내었네요. 인도의 전통 의상인 사리를 입고 있는 여인들의 모습에서 이국적 정서를 느끼게 됩니다. 뉴욕 센트럴 파크 (1981) ] 그 곳을 대표하는 공원을 그리면서 자신이 느꼈던 또 다른 이국의 정서를 그림으로 보여주고 있네요. 한가로운 공원의 한 켠에는 다람쥐가 놀고 있구요, 마차를 몰고 있는 마부는 또 다른 손님을 기다리고 있는 듯 합니다. 나뭇잎이 다 떨어진 나무들의 가지들이 배경을 가득 채운 모습이 인상적입니다. 두상 (1982) ] 그녀가 느끼는 아름다움은 슬픔의 애상에서 시작된 것임을 뼈 속 깊이 사무쳐 느끼게 하지요. 쏟아지는 꽃비 속, 처연한 눈망울의 여인은 차가와 보이지만 사랑이 필요한, 누군가를 바라고 있는 천 화백의 또 다른 얼굴인 듯 합니다. 황금의 비 (1982) ] 그림을 바라보는 내 자산의 가슴 속을 꿰뚫어 보고 있는 듯한 그녀의 눈동자가 인상적이지요. 그녀의 인상은 너무 강렬해서 그림을 내려도 쉽게 잊혀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
'문화,예술,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름다운 지구(Beautiful Earth) (0) | 2012.11.27 |
---|---|
[스크랩] 신윤복 그림에 숨겨진 놀라운 비밀과 해석 (0) | 2012.11.25 |
[스크랩] 사진같은 그림? 극사실주의 화가 작품 (0) | 2012.11.15 |
[스크랩] 미국 여류화가 Jeffrey T. Larson의 극사실화 (0) | 2012.11.15 |
[스크랩] [스크랩] [미술]운보/ 김기창 화백의 작품세계 (0) | 2012.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