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꿩의다리 | |
|
|
|
|
♠ 물레나물 | |
|
|
♠ 냉이(나생이) | |
|
|
♠ 돌나물(돈나물) | |
|
|
♠ 바위취(범의귀) | |
|
|
|
|
♠ 아주까리 | |
|
|
♠ 산초나무 | |
|
|
♠ 초피나무 | |
|
|
♠ 참죽나무 | |
|
|
|
|
♠ 졸방제비꽃 | |
|
|
♠ 남산제비꽃 | |
|
|
♠ 달맞이꽃 | |
|
|
♠ 박쥐나무 | |
|
|
♠ 두릅나무 | |
|
|
♠ 오갈피나무 | |
|
|
♠ 음나무 | |
|
|
♠ 참나물 | |
|
|
♠ (참)당귀 | |
|
|
당귀란 참당귀의 뿌리를 말하며 고려시대 목귀초(目貴草),당적(當赤)이라고도 하였으며, 1600년대에는 숭엄초불휘라고도 하였다. 다른이름으로 숙근초(宿根草)라고도 한다. 뿌리는 약재로 쓰이며 약성은 온화하고 맛은 달고 쓴데, 방향성 정유와 서당,비타민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월경을 조절하고 월경통을 제거해주는 효능이 있는데 이것은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진통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또한 보혈작용이 현저하여 빈혈에 유효하고 일반 타박상이나 현전성 동맥염의 치료에도 응용된다. 만성 화농증에 사용하면 순환을 개선시키고 체내의 저항력을 증강시키며, 변비에 복용하면 장관운동을 원활하게 해주어 배변을 용이하게 한다. 이밖에도 빈혈로오는 두통, 관절염등에 널리 사용한다. 자궁출혈이 심할 때는 사용하지 않으며 장기간 또는 다량투여하는 것도 삼간다. 당귀의 가는 뿌리를 차를 달여 마시거나 술을 담가 먹는다. |
♠ 잔대 | |
|
|
♠ 모싯대 | |
|
|
♠ 도라지 | |
|
|
♠ 더덕 | |
|
|
♠ 만삼 | |
|
|
♠ 단풍취 | |
|
|
♠ 미역취 | |
|
|
♠ 숙부장이 | |
|
|
옛날 가난한 대장장이의 집에 딸이 있었다. |
♠ 참취 | |
|
|
♠ 머위 | |
|
|
머위잎에는 비타민 A를 비롯하여 비타민이 고루 함유되어 있으며 칼슘성분이 많은 알카리성 식품으로 잎을 따 버리고 잎자루를 삶아서 물에 담그어 아릿한 맛을 우려낸 후 껍질을 벗겨 버리고 조리한다. 삶을 때 공기에 접하면 갈색으로 변하므로 끓는 물에 빨리 넣고 삶는다. 머위는 볶음, 조림, 장아찌, 정과 등으로 조리하며 머위잎은 삶아서 쓰고 아릿한 맛을 우려내고 머위쌈으로 먹을 수 있다. 이른 봄에 꽃봉오리는 포엽에 싸여 돋아나는데 피지 않은 꽃봉오리일 때 살짝 데쳐서 잘 게 썰어 셀러드, 초고추장무침, 튀김, 무침 등으로 조리하면 향기와 맛이 두드러진 진미의 산채가 된다. 머위 잎자루의 껍질은 방부효과가 있어서 산나물을 염장할 때 이것을 함께 넣고 절이면 곰팡이가 생기지 않는다. 머위 꽃봉오리는 건위, 진해, 해열의 효과가 있으며 식욕을 증진하는 약이 되기도 하며 차로 만들어 이용하기도 하고 술에 담그어 약술을 만들기도 한다. 삶은 머위나물은 염장가공(鹽藏加工)도 하고 말렸다가 묵나물로도 이용한다 |
♠ 곰취 | |
|
|
♠ 박쥐나물 | |
|
|
♠ 어리병풍 | |
|
|
♠ 우산나물 | |
|
|
♠ 쑥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