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월드컵이 열리는 남아공은 어떤 곳?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열리는 월드컵은 아프리카 대륙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월드컵입니다. 우연의 일치인가요? 서양문명이 맨 처음 아프리카 대륙을 발견한 곳도 바로 남아공이었죠. 인도를 찾으러 갔다가 아메리카 대륙과 남아공을 발견하게 된 거죠.
Rock ,
남아공하면 교과서에서 배웠던 ‘희망봉’(Cape of Good Hope)이 생각납니다.
왜 ‘희망봉’이라 불리느냐 하면 그 옛날 유럽의 선원들이 망망대해에서 희망봉을 보면서 이제 집이 멀지 않았구나(유럽과 아프리카가 가까운 관계로) 하고 희망을 가지게 되었다고 해서 그렇게 이름이 붙여졌다죠.
또 남아공하면 생각나는 것이 인종분리정책과 넬슨 만델라입니다.
우리가 학교에서 배울 때 인종분리정책이라 배웠을 때는 그냥 흑백간의 갈등이 심하다고 생각하고 지나쳤는데 나중에 생각해보니 왜 인종차별이 아니라 인종분리라고 했는지 의아하더군요. 그 이유는 진짜로 ‘분리’했기 때문입니다.
여러분 영화 <디스트릭트 9>를 보셨겠죠? 그 영화의 배경이 바로 남아공의 소웨토(Soweto)라는 곳입니다. 소웨토는 흑인 빈민지역으로 <디스트릭트 9>에서처럼 철의 장막처럼 백인 거주지역과 분리되어 철저하게 격리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인종’차별’정책이라 불리지 않고 인종’분리’정책이라 불리는 이유였던 것입니다. 차별 정도가 아니었던 것이죠.
Soweto Township
Shanty town in Soweto
인종차별의 정도가 극심하다 보니 남아공에서 넬슨 만델라의 위치는 굉장합니다. 흑인인권운동가였던 만델라는 남아공 최초의 흑인대통령으로 선출되었죠. 만델라를 포함해 흑인 정치범들을 가두어 두었던 로빈 아일랜드(Robben Island)는 현재 만델라 박물관으로 변했습니다. 남아공의 역사를 알고자 한다면 반드시 들러야 하는 곳이죠.
Aminetu Haidar - In the constitutional court
Robben Island by
만델라 집권 이후로 소웨토에서 흑인은 해방되었습니다. 하지만 소웨토는 여전히 빈민지역이고 여전히 격리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살고 있죠. 그 사람들은 아프리카의 다른 나라에서 온 흑인들 즉, 불법체류자들과 이주노동자들입니다. 눈에 보이는 장벽에 의한 분리가 대물림 되고 있는 것이죠. 최근 월드컵 때문에 다른 나라의 흑인들이 자기 나라를 떠나 남아공으로 몰려드는 러시가 일어나고 있다고도 합니다. 살 길을 찾아서 불법적으로 국경을 횡단하는 것이죠. 그리고 소웨토에서 격리되는 겁니다. 안타까운 일입니다.
zoriah_soweto_slum_nairobi_kenya_boy_child_poverty_dump_trash_rubbish_
남아공에서 여행객들이 반드시 거치게 되는 곳이 쿠르거(Kruger) 국립공원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큰 사파리 중의 하나죠.
Young leopard
African elephant (Loxodonta africana)
쿠르거 국립공원도 좋겠지만, 정말 좋은 곳을 소개해드리죠. 바로 드라켄스버그(drakensberg) 산맥입니다. <반지의 제왕>의 원작자인 존 로널드 루엘 톨킨이 이 드라켄스버그 산맥을 보면서 그 소설을 구상했다고 합니다. 실제 작가가 상상했던 <반지의 제왕>의 배경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Drakensberg mountain range
Cathedral Peaks
드라켄스버그는 ‘드라켄스버그 소년합창단’ 때문에 세상에 알려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이 소년합창단은 1992년 세계소년합창대회에서 혜성과 같이 나타나 비엔나 청소년 합창단을 꺾고 1위를 하며 세계를 놀라게 합니다. 잠시 들어볼까요?
어떻습니까? 기존의 합창단과는 사뭇 다르게 신선하죠?
남아공의 치안이 불안하다고들 하는데, 남아공으로 응원갈 준비가 다들 되셨나요?
치안이 불안하다 해도 가고 싶은 Berghausway랍니다
'스포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창동계올림픽개최..인프라구축 (0) | 2011.07.08 |
---|---|
월드컵 부진이유를 분석해보니... (0) | 2010.07.06 |
원 아시아투어...프로골프 투어 (0) | 2010.04.26 |
2010년 고교 황금사자기대회 승자는... (0) | 2010.03.30 |
김연아열풍 (0) | 2010.03.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