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 (La Strada, 1954) ‘ 지나온 길은 다시 갈 수 없다’ 가끔은 어디론가 떠나 내 직업을 잠시 잊고 살고 싶다 이럴 때 여행은 자기 충전과 재발견을 위한 것이지만 어떤 사람들에게는 이곳 저곳을 떠도는 방랑이 그 자체로 생존 수단이기도 하다. 그렇게 해서 삶의 의미를 깨달았다고 하면 좋겠지만 그건 때로 너무 늦게 찾아온다. 페데리코 펠리니의 고전 명작 ‘길’의 주인공 잠파노가 그랬다. 모든 게 너무 늦었다. 삶의 의미도, 행복도... ‘길’은 슬픈 영화다. 이 영화에서 떠돌이 광대 잠파노와 그의 조수인 백치 젤소미나의비극적인 관계는 자기 땅에 발붙일 곳을 찾지 못한 , 동시에 자기 마음을 둘 사람을 찾지 못한 어리석음에 대한 만가(輓歌)이다 운명을 비추는 수많은 길 이 영화는 로마 북쪽의 비테르보(Viterbo)와 이 곳에서 서쪽으로 120킬로미터 가량 떨어진 아브루지 주의 주도(州都) 라퀼라(L’Aquila) 등지에서 촬영되었다고 한다 50년대 이탈리아의 쓸쓸한 풍경들 속에서 지금은 고인이 된 앤소니 퀸이 연기하는 잠파노의 그늘진 얼굴 표정과 펠리니의 부인이었던 줄리에타 마시나가 보여준 백치 젤소미나의 천진한 미소는 영화 역사에서 쉽게 잊혀지지 않을 이미지다. 펠리니는 어울리지 않는 이들의 고단한 여정을 통해 사랑을 통한 구원이사실은 사랑의 불가능성에 대한 절망에 기초하고 있다는 걸 보여준다 그건 슬픈 사실이지만 때로는 거부할 수 없는 진실이다. 영화의 배경을 이루고 있는 수많은 이름 모를 길들은 바로 그런 인간의 운명을 비추고 있는 듯 하다. 한번 지나치면 다시 돌아오기 힘든 길, 만남과 헤어짐과 스쳐 지나감을기억하지 않는 길, 그저 무심하게 있는 그 길은 우리가 마음으로 채워 넣어야 할 운명의 속내를 가리킨다 거기에 사랑을 채워넣지 않을 때 어떤 길도 의미가 없다. 영화의 말미에 죽은 젤소미나를 추억하며 늙고 병약해진 잠파노가 해변가에서 흑흑거리며 통곡할 때 그가 깨달은 것도 바로 이 점이었다. 한 번 지나온 길은 다시 돌아갈 수 없다. 오로지 그 땅을 밟고 지나갈 때 기억해야 한다. 그것이 인생이다. 페데리코 펠리니의 ‘길’은 수많은 길 위에서 일어난방랑의 흔적은 분명 그렇게 말하고 있다.
길 (La Strada) / 1954
자아의 섬에 갇힌 인생의 회한과 절규, 그리고 찾아드는 외로움
출연 : 안소니 퀸 (Anthony Quinn), 줄리에타 마시나 (Giulietta Masina),
리차드 베이스하트 (Richard Basehart), 알도 실바니 (Aldo Silvani)
Marcella Robere Livia Venturini
Assistente : Lina Caterini
Collaboratore Alla Acclleggiatura : Ennio Flajano
Organizzatore Generale : Luigi Giacosi
각본 : 페데리코 펠리니 (Federico Fellini), 툴리오 피넬리 (Tullio Pinelli),
감독 : 페데리코 펠리니 (Federico Fellini)
음악 : 니노 로타 (Nino Rota), Franco Ferrara(Diretta Dal Maestro)
제작 : 디노 디 로렌티스 (Dino De Laurentiis), 칼로 폰티 (Carlo Ponti)
촬영 : 오텔로 마르텔리 (Otello Martelli)
편집 : 레오 가토조 (Leo Cattozzo)
관련영화사 : Dino De Laurentiis Presents Ponti-De Laurentiis
우리는 문득 삶의 여정을 외적인 위치에서 바라보며 회고할 때가 있다.
특히 소중한 것을 잃었을 때, 죽음의 예고를 느꼈을 때,
미처 알지 못했던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게 되는데,
그러한 때가 바로 인생의 진정한 의미와 자신의 존재를 깨닫는 순간이다.
그러나 후회하며 울어봐도 살아왔던 삶을 되돌릴 수는 없다.
그것은 이미 늦어버린 슬픔에 불과하다.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의 길 (La Strada)에서 방랑하는 차력사 짐파노는
삶의 진정한 의미를 너무 늦게 깨닫고 뜨거운 눈물을 흘린다.
비록 지능이 모자랐지만 순수했던 젤소미나의 삶을 통해서
일그러진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 보며 통곡한다.
당신은 죽는 순간까지 진심으로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사람을 알아낼 수 있을까?
지켜낼 수 있을까?
우리는 자만심과 이기심 속에서
자신의 나약함과 외로움을 인식하지 못하고 방황하고 있다.
길 (La Strada)은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의 영화철학과 심미적인 인생관을 잘 보여준다.
왜 그가 영화사에서 가장 주목받는 감독 중의 하나인지 알 수 있게 한다.
물론 시나리오도 그가 직접 쓴다.
이 영화는 감독의 실제 유년 시절에 경험했던 서커스를 통해 스토리를 만들고
거기에 인본주의를 접목시킨 것이라고 한다.
사회적 환경과 제도 속에서 정신적인 것들을 뽑아내
하나의 서사시를 만들어내는 솜씨는 가히 천재적이다.
(페데리코 펠리니 감독은 실제적 인물을 통해 절대적 가치를 전달하는 반면,
데이비드 린치 감독은 신묘하고 황홀한 빛과 음성과 몸짓을 통해서 메시지를 전달한다.)
가난한 시골, 힘겨운 삶 속에서도 농민이나 상인이 아니라
방랑하는 차력사를 등장시킨 것도 그러하고
진정한 삶을 깨닫게 하는 대상이 성직자나 선구자가 아니라
정신적으로 온전하지 못한 백치의 여인이라는 것도 그러하다.
또 천사의 음성처럼 광대를 등장시켜
절망적인 우리의 삶을 죽이는 과정을 복선으로 깔아주는 것도
이 영화에 열광하는 이유다.
짐파노를 바닷가로 이끌었던 것은 바로 자신에 대한 성찰과 속죄였다.
백치의 젤소미나가 성경의 한 구절보다 낫다는 소리가 나오지 않을 수 없다.
이 영화는 1954년 베니스 영화제 은사자상, 아카데미 최우수 외국어 영화상을 받았다.![]()
![]()
![]()
![]()
![]()
제 2차 세계대전 후, 짐파노는 여러 지방을 돌아다니며
쇠사슬을 끊는 차력으로 밥벌이를 하는 방랑자다.
그는 정신이 온전치 못한 젤소미나를 방랑에 동행시키고
자신의 조수 겸 아내의 역할을 맡게 한다.
그러나 그녀는 그의 욕정과 욕망을 해갈하는 도구일 뿐이다.
본능적이고 폭력적인 그에게 혹사당한 그녀는
몇 번이나 도망가려고 했으나 그럴 수 없었다.
이미 그녀는 그에게 운명을 맡긴 것이다.
그녀는 백치였으나 타인을 진심으로 배려할 줄 알았고
순진무구한 성품과 의리를 지닌 아름다운 여자였다.
둘은 그들만의 방랑을 끝내고 곡마단에 입단한다.
그곳에는 괴상한 광대, 일마토가 있었는데,
그는 젤소미나가 지닌 소중한 인간미를 일깨워주며
그녀를 진심으로 도우려 한다.
짐파노에게도 그녀를 소중하게 생각하라고 충고한다.
그러나 그가 못마땅한 짐파노는 바른 소리를 하는 그를 폭행하고
감옥에 들어가게 된다.
사람들은 그녀에게 그를 버리고 떠나야 한다고 충고하지만,
그녀는 신의 음성에 화답하는 길을 선택하고 짐파노를 기다린다.
짐파노는 출감하여 다시 젤소미나와 함께 방랑길에 나선다.
그러나 우연히 일마토와 만난 짐파토는 또 말다툼을 한다.
화를 참지 못한 그는 일마토를 죽이고 시체를 감춘다.
젤소미나는 일마토의 죽음에 충격을 받고 슬피 운다.
그리고 그녀의 영혼은 몹쓸 병에 걸리게 된다.
짐파노는 병든 그녀를 버리고 홀로 떠난다.
5년 뒤,
짐파노는 바닷가 마을에 도착하여 귀에 익은 노랫소리를 듣는다.
그것은 젤소미나가 항상 흥얼거리는 노래였다.
그는 그 노래를 부르는 여인에게서 젤소미나의 죽음을 전해 듣는다.
그날 밤, 만취한 짐파노는 해변에 주저 앉아 속죄의 눈물을 흘리며 통곡한다.
비로소 자신의 삶이 혼자라는 것을 깨닫게 된 것이다.
' world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배철수 선정 연주명곡 동영상 100 * (0) | 2008.07.04 |
---|---|
[스크랩] pop 연주 동영상 109 (0) | 2008.06.23 |
be(갈매기의 꿈 ost) (0) | 2008.06.18 |
[스크랩] Andaluza / Granados (0) | 2008.05.16 |
[스크랩] Enrique Granados-Spanish Dance Op.37 No.2 in C minor "Orienta" (0) | 2008.05.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