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사진

[스크랩] 청출어람(靑出於藍)

제봉산 2007. 4. 24. 09:06
 청출어람(靑出於藍)

  靑 : 푸를 청 / 出 : 날 출 / 於 : 어조사 어 / 藍 : 쪽 람

【뜻】쪽(藍)에서 나온 푸른 물감이 쪽빛보다 더 푸르다. → 제자가 스승보다 더 나음.

【준말】출람(出藍)

【동의어】출람지예(出藍之譽), 출람지재(出藍之才), 후생각고(後生角高), 출람지영예(出藍之榮譽).

【출전】<순자(荀子)> ‘권학편(勸學篇)’

【고사】

  『중국 전국시대의 사상가로서 성악설(性惡說)을 창시한 순자(荀子)의 사상을 집록한 <순자>의 ‘권학편(勸學篇)’에 나오는 말이다.

  “학문은 그쳐서는 안 된다 (學不可以已).

  푸른색은 쪽에서 취했지만 (靑取之於藍)

  쪽빛보다 더 푸르고 (而靑於藍)

  얼음은 물이 이루었지만 (氷水爲之)

  물보다도 더 차다 (而寒於水).”

  학문이란 끊임없이 계속되는 것이므로 중도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뜻이다. 푸른색이 쪽빛보다 푸르듯이, 얼음이 물보다 차듯이 면학을 계속하면 스승을 능가하는 학문의 깊이를 가진 제자도 나타날 수 있다는 말이다. 여기서 제자가 스승보다 뛰어나다는 뜻인 ‘청출어람’이 나왔으며, ‘출람(出藍)’이란 말도 여기서 비롯된 말이다.

  또 이러한 재주 있는 사람을 ‘출람지재(出藍之才)’라고 한다. 비록 제자일지라도 열심히 하면 얼마든지 스승을 능가할 수 있음을 강조한 순자의 주장을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예가 있다. 북조(北朝) 북위(北魏)의 이밀(李謐)은 어려서 공번을 스승으로 삼아 학문을 하였다. 그는 학문의 발전 속도가 매우 빨라 열심히 노력한 결과 몇 년이 지나자 스승의 학문을 능가하게 되었다. 공번은 이제 그에게 더 이상 가르칠 것이 없다고 생각하고 도리어 그를 스승으로 삼기를 청했다. 그러자, 친구들은 그의 용기를 높이 사고 또 훌륭한 제자를 두었다는 뜻에서 ‘청출어람(靑出於藍)’이라고 칭찬했다. 우리 속담에 ‘나중 난 뿔이 우뚝하다’는 말이 있는데, 이는 ‘출람지재’, ‘출람지예(出藍之譽)’ 등과 함께 ‘청출어람’과 같은 뜻으로 사용되는 말이다.』


출처 : 김영관의 국어방
글쓴이 : 김영관 원글보기
메모 :

'문화,예술,사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체의 예술-2  (0) 2008.08.21
인체의 에술-1  (0) 2008.07.25
박경리선생의 일본산고유고집.  (0) 2008.07.18
한국국민과 일본인의 문화비교?  (0) 2007.08.30
[스크랩] 인체미술과 4대미녀 |  (0) 2007.07.11